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 자생 우슬(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항산화, 항염증과 항주름 평가

이용수  94

영문명
The evaluation of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d Anti-wrinkle activity of Jeju Native Achyranthes japonica Nakai
발행기관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저자명
엄미선(Mi-Sun Um)
간행물 정보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5호, 1209~121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공학 > 화학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우슬(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우슬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항염증, 항주름 효과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식물 재료는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우슬 뿌리(Achyranthes japonica Nakai roots, AJNR)와 우슬 줄기 (Achyranthes japonica Nakai stalks, AJNS)로부터 추출하였다. RAW 264.7 세포를 배양하여 추출물의 Nitric oxide assay를 진행하였고, 섬유아세포 CCD-986sk를 배양하여 추출물의 MMP-1 assay, Type I procollagen synthesis assay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항산화 활성은 우슬 뿌리와 우슬 줄기 모두 우수하였고, 뿌리는 함염증 효과가 월등하게 우수하였으며 줄기는 뿌리에 비해 MMP-1 저해 활성과 Type I procollagen 합성 효과가 조금 더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 우슬 뿌리와 우슬 줄기의 항산화 활성은 유사한 수준으로 우수하였고, 뿌리의 함염 활성은 줄기보다 월등하게 높았다. MMP-1 저해 활성과 Type I procollagen 합성 효과는 대체적으로 우수하였는데 줄기가 뿌리에 비해 가 조금 더 뛰어났다. 그러므로 우슬은 항산화, 항염증, 항주름의 활성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ure the possiblility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for a cosmetic material. For this we examined the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ti-wrinkle effects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 Each material is extracted from Achyranthes japonica Nakai roots(AJNR) and Achyranthes japonica Nakai stalks(AJNS) using 70% ethanol. We carried out Nitric oxide assay of the extract with cultured RAW 264.7 macrophage cells, And we conducted MMP-1 assay, Type I procollagen synthesis assay of the extract with cultured CCD-986sk fibroblast cells. After we measured ABTS+ assay and SOD assay of AJNR and AJNS, we knew that effect of anti-oxidant increased as their concentration get higher.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JNR and AJNS was similarly excellent an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JN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JNS. The MMP-1 inhibitory activity and Type I procollagen synthesis of AJNR and AJNS was generally excellent, AJNS had slightly better than AJNR. Therefore I thought it has the chance to play an imfortant role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for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wrinkle reduction effects.

목차

1. 서론
2. 실험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미선(Mi-Sun Um). (2021).제주 자생 우슬(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항산화, 항염증과 항주름 평가.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8 (5), 1209-1218

MLA

엄미선(Mi-Sun Um). "제주 자생 우슬(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항산화, 항염증과 항주름 평가."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8.5(2021): 1209-12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