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Dyeing Ability of Acid Hair Dye Using Chestnut Shell Dye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임대진(Lim Dae Jin)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5호, 1273~128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율피 색소로 1제형 산성 염모제를 제조하여 1제형 산성 염모제의 단점인 색상의 발색력을 높이고 오랜 지속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광측색계를 이용하여 염색력을 측정 하고, 모발의 퇴색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광학밀도(O.D.) 값을 측정하였으며, 모발의 탄력성은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각 레벨의 모발 시료에 대해 다른 방치 시간과 처리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 20분간 열처리한 실험군이 가장 높은 염색력을 나타내었다. 이어 자연방치 40분, 열처리 10분, 자연 방치 20분 순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10레벨까지 올라갈수록 색상 표현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10레벨에서는 3일 후에도 약간의 수분 손실이 발생하고 인장강도도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뷰티 업계가 다양한 천연염색 성분이 함유된 1제형 산성 염모제를 대중화하여 현대인의 웰빙과 건강한 심신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power of color and examine the long-lasting power, which is a disadvantage of one-pack acid hair dye by using chestnut shell pigment. For this, hair dyeing power was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the optical density(O.D.) value was measured to examine the degree of fading of the hair, and the elasticity of the hair was analyzed by measuring the tensile streng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sults of applying different leaving times and treatment methods to the hair samples of each level,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heat-treated for 20 minutes showed the highest dyeing power. Then, it was confirmed in the order of 40 minutes of natural exposure, 10 minutes of heat treatment, and 20 minutes of natural exposure.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color expression visually improved as it went up to level 10. However, at level 10, it was confirmed that some water loss occurred even after 3 days and the tensile strength was low. These findings that indicated the beauty industry will popularize a one-step acid hair dye containing various natural dye ingredients to help maintain modern people s well-being and healthy mind and body.
목차
1. 서론
2. 실험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5호 목차
- 은행나무 종자 추출물의 미백효능 분석
- 골프 어플리케이션(App)특성이 소비자 몰입증진과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항가려움증 활성에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 가미수미원의 열수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비교
- 제주 자생 우슬(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항산화, 항염증과 항주름 평가
- NaF 첨가량이 흰쥐의 NEFA 및 Uric Acid 농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간호사 이미지가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인삼(Panax ginseng)으로부터 생물전환을 이용한 생리활성물질인 Compound K의 생합성
- 콜로이달 골드 합성 및 스킨케어 화장품 응용
- 율피 색소를 함유한 산성 염모제의 모발 염색력 비교
- 재조명되는 람노리피드 양산화 동향연구
- 질산 처리에 따른 활성탄 표면의 친수성 특성 향상에 관한 연구
-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황기 에탄올 추출물과 황기 생물전환 추출물의 생리활성 특성
- 자외선으로 손상을 유도한 피부섬유아세포에서 스피룰리나 유래 피코시아닌의 보호 효과
- 엉덩관절 강화 운동이 운동선수의 근력, 동적자세조절 및 하체 손상 준거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골프 참여자의 과시적 여가소비와 스트레스 해소,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웰빙의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The Effect of Beauty Professionals' Rapport Forma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auty Shop Recommendation Intention
- 웨어러블 로봇 기반 위상 궤적 분석을 활용한 비대칭 보행 평가: 재활 운동 전략 적용을 위한 파일럿 연구
- 체육학과 교수의 NCS 교육과정 인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