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visit to the Commercial-scale Production of Rhamnolipids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오경석(Kyeongseok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5호, 1219~122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친환경적 바이오 계면활성제의 하나인 람노리피드(rhamnolipid)의 제조는 Pseudomonas aeruginos 계열의 박테리아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바이오 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람노리피드의 화학구조는 rhamnose당과 β-hydroxylated fatty acid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이오 공정을 통해 동질체 혼합물 형태로 생산된다. 발효(fermentation)공정 중 거품 제어가 수율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박테리아 내부에서 일어나는 람노리피드 합성 메카니즘을 소개하였고, 발효공정에서 문제점으로 인식되었던 거품 제어 방법에 대한 최근 시도들을 살펴보았다. 10년 전과 비교하여, 람노리 피드 양산화 가능성은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특히, 람노리피드와 같은 바이오 계면활성제는 의약품과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응용된다면, 시장의 요구가 더 커질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Rhamnolipids are recognized as eco-friendly biosurfactants and produced by the bio-process employing bacteria. Pseudomons aeruginosa is well-known to produce rhamnolipids in high yield during fermentation process. Rhamnose and β-hydroxylated fatty acid are main chemicals for rhamnolipids, which are produced in the form of congener mixtures. In this paper, the synthetic mechanism of rhamnolipids within bacteria cells was presented in part and foam control technologies were qualitatively described. Foam control during fermentation process was important to regulate a continuous process. During last decade, the technologies are developed enough to challenge to a commercial-scale production. In particular, rhamnolipids will be more valuable if these can be applicable to value-added chemicals, such as medicines.
목차
1. 서론
2. 람노리피드 합성과 공정 개발 연구 분석
3. 고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5호 목차
- 은행나무 종자 추출물의 미백효능 분석
- 골프 어플리케이션(App)특성이 소비자 몰입증진과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항가려움증 활성에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 가미수미원의 열수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비교
- 제주 자생 우슬(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항산화, 항염증과 항주름 평가
- NaF 첨가량이 흰쥐의 NEFA 및 Uric Acid 농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간호사 이미지가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인삼(Panax ginseng)으로부터 생물전환을 이용한 생리활성물질인 Compound K의 생합성
- 콜로이달 골드 합성 및 스킨케어 화장품 응용
- 율피 색소를 함유한 산성 염모제의 모발 염색력 비교
- 재조명되는 람노리피드 양산화 동향연구
- 질산 처리에 따른 활성탄 표면의 친수성 특성 향상에 관한 연구
-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황기 에탄올 추출물과 황기 생물전환 추출물의 생리활성 특성
- 자외선으로 손상을 유도한 피부섬유아세포에서 스피룰리나 유래 피코시아닌의 보호 효과
- 엉덩관절 강화 운동이 운동선수의 근력, 동적자세조절 및 하체 손상 준거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골프 참여자의 과시적 여가소비와 스트레스 해소,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웰빙의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웨어러블 로봇 기반 위상 궤적 분석을 활용한 비대칭 보행 평가: 재활 운동 전략 적용을 위한 파일럿 연구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인식, 인공지능 리터러시 및 간호정보활용역량 간의 관계분석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임상실습관련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