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orean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n Core Competencies for the 2015 English Curriculum Implementation
이용수 4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Yoonhee Kim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4 No.3, 47~7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of Korean secondary-school English teachers and how they perceive these competencies in terms of importance, applicability, and teachers’ competency level ahead of implement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s. After the literature research, interviews, and expert review processes, five core competencies were extracted: curriculum and content reorganization competency; learner-centered teaching competency; innovative assessment competency; multicultural (inter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ICT use. From the results of a survey administered to 93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competency level was lower than required, but it was higher than applicability. Overall, teachers felt insecure about how to apply the required competencies to their lessons. There was also a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in the self-rating results.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er preparation and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toward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Methodology
IV. Results
V. Discussion
VI.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orean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n Core Competencies for the 2015 English Curriculum Implementation
-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코퍼스 기반 분석
- 국내외로의 자국어 보급을 위한 국가 대표 누리집 비교 연구
- Exa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Vocabulary Size Test in Korean EFL Context
- 한국 대학생의 영어 절 습득 순서에 대한 연구
- ‘중국인 유학생’에 관한 미디어 담론분석
- 리터러시 중심 문화학습
- 분리 및 통합 형태초점 교수법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싱가포르 대학생의 한국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 요인
- Language Attitude of Ethnic Chinese in Four Southeast Asian Countries
- Effects of Two Types of Indirect Written Corrective Feedback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Articl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아동 돌봄 종사자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4년~2024년 발행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돌봄전담사의 애정형, 방임형 돌봄행위가 공감능력을 매개로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사교육 교사의 전문성과 성찰적 실천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