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ading passages in English textbooks between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황은경(Hwang, Eunkyung) 박광현(Park, Kwanghyun)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6 No.3, 99~11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dability of reading passages used in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all the reading passages of each textbook were calculated with ATOS (Advantage-TASA Open Standard) formula as a readability index.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irstly, the average readability score of 6th grade English textbooks is higher than that of 5th grade ones. Secondly, the readability of 6th grade English textbooks is about six months ahead of that of 5th grade ones. Thirdly, the readability scores are similar in all reading passages for 5th grade, while the readability scores of 6th grade differ from textbooks to textbooks. According to the textbook writers, the readability score of 6th grade textbooks is higher than that of 5th grade ones in four out of five textbooks. Lastly, In terms of the units in each textbook, the readability scores fluctuate and do not increase sequentially as expect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AAC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한국 대학생과 원어민 대학생이 작성한 에세이에 나타난 응집력의 특성 비교
- 영화감상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독해활동이 대학생의 독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 可能表現の誤用分析を日本語教育に活用するための予備的考察
- 입력중심활동과 출력중심활동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비대격 구문 습득에 미치는 영향
- Validating Young Learners’ Classroom Assessment: A Case Study of English Achievement Tests
- 비판적 담론분석방법을 활용한 타당화 연구의 이해
- Effects of Outlining on the Genre-based Summaries: A Corpus-based Analysis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5학년과 6학년 영어교과서 읽기 지문의 이독성 지수 비교분석
- 음성 녹음과제가 대학영어 간호학과 수강생들의 영어 말하기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방송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