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ravoprost와 Tafluprost의 안압 및 안구박동 크기 변화에 대한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Travoprost- and Tafluprost-induced Changes in Intraocular Pressure and Ocular Pulse Amplitude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경민(Gyeong Min Lee) 하승주(Seung Joo Ha)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9, 1235~124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travoprost 0.003%와 tafluprost 0.0015%를 장기 사용 후 안압하강 효과 및 안구박동 크기 변화에 대해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7년 1월부터 2019년 7월까지 본원에서 개방각녹내장으로 처음 진단된 환자들 대상으로 travoprost군 42안(23명), tafluprost군 26안(14명)을 비교하였다. 골드만압평안압계(Goldmann applanation tonometry, GAT)로 측정한 안압과 Dynamic Contour Tonometry로 측정한 corrected Ocular Pulse Amplitude (cOPA)를 1년 동안 경과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1년간 travoprost와 tafluprost의 GAT, cOPA를 비교하였을 때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12, p=0.105). 초기 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GAT의 변화량은 travoprost군이 -5.32 ± 2.63 mmHg, tafluprost군은 -3.79 ± 3.19 mmHg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457), cOPA는 travoprost군이 +0.04 ± 0.9 mmHg, tafluprost군이 -0.76 ± 0.97 mmHg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28).
결론: Travoprost와 tafluprost는 장기 안압하강 효과에 차이가 없으나 초기 효과에서는 travoprost가 더 빠르게 안압을 낮춰주었고, tafluprost가 OPA 변화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상기 요인들을 고려하여 치료 목표에 따라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선택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intraocular pressure reduction and changes in ocular pulse amplitude of travoprost 0.003% and tafluprost 0.0015%.
Methods: We assessed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open-angle glaucoma from January 2017 to July 2019 for the first time at our hospital. Forty-two eyes were assigned to the travoprost group (23 patients) and 26 eyes were assigned to the tafluprost group (14 patients). Changes in intraocular pressure were measured by Goldmann applanation tonometry (GAT), and corrected ocular pulse amplitude (cOPA) was measured using dynamic contour tonometry. Changes in these parameters were observed and compared for 1 year.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GAT measurements and the cOPA of patients treated with travoprost and tafluprost for 1 year (p = 0.512, p = 0.105). The change in initial intraocular pressure on GAT observed after 1 week was -5.32 ± 2.63 mmHg for travoprost and -3.79 ± 3.19 mmHg for tafluprost (p = 0.0457). The initial change in cOPA was +0.04 ± 0.9 mmHg in the travoprost group and -0.76 ± 0.97 mmHg in the tafluprost group (p = 0.0028).
Conclusions: Travoprost and tafluprost reached the targeted intraocular pressure with no difference in the long-term effects of reduced intraocular pressure. However, travoprost was initially better at lowering intraocular pressure faster, and tafluprost had a greater effect on lowering OPA. Prostaglandin analogs can be selected individually by considering the aforementioned factors.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하사근을 침범한 안와의 Phakomatous Choristoma 1예
- 실내 조명 아래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 앞방각 모양 및 안압의 변화
- 빅 데이터를 이용한 뚜렛증후군 환자와 관련된 안과적 임상양상의 유병률 조사
-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에서 베바시주맙치료 결과
- 광범위한 속눈썹증과 두줄속눈썹에서 모낭을 포함한 눈꺼풀테부분절제술의 효과
- 단독 하사근염으로 발현한 특발안와염 1예
- Curtobacterium pusillum에 의한 개방안구손상 후 안내염
- 최근 10년간 국내 녹내장 진단 현황 변화
- Travoprost와 Tafluprost의 안압 및 안구박동 크기 변화에 대한 연구
- 국내 아이스텐트와 아이스텐트 인젝트의 백내장 병합술 성공률 비교와 예후 인자 분석
- 동물용 접종 주사바늘에 수상 후 발생한 안내염 및 망막박리
- 결절맥락막혈관병증에서 인도시아닌그린 혈관조영술과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의 비교
- 망막박리와 동반된 출혈성 거대망막낭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애플리버셉트로 교체투여 후 추적 관찰 중 나타나는 제한적 치료 반응
- 샤임플러그 사진기로 측정한 전면각막곡률값과 총각막곡률값 차이에 따른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 낭내 인공수정체 삽입 후 광학부-지지부 연결 부위 봉합을 이용한 공막고정의 효과
- 이전에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시행 후 발생한 인공수정체탈구에서 공막고정술 재수술의 결과
- 외사시와 동반된 수직사시에서 수평근의 수직전이 효과
- 한국인에서 개정된 눈 사르코이도시스 진단 기준의 임상적 효용성에 대한 분석
- 눈물관막힘으로 발견된 소세포신경내분비암종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