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내 조명 아래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 앞방각 모양 및 안압의 변화
이용수 37
- 영문명
- Changes in Iridocorneal Angle Configuration and Intraocular Pressure during Smartphone Use under Room Light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성택(Seong Taik Lee) 박수진(Su Jin Park) 강용구(Yong Koo Kang) 신재필(Jae Pil Shin) 김대우(Dai Woo Kim) 박동호(Dong Ho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9, 1252~125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실내 조명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에 안압과 앞방각 모양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대상과 방법: 안과적 이상이 없는 19-35세 사이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 전에 리바운드 안압계로 안압을 측정하고 전안부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해 앞방각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이후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2, 4, 6분에 리바운드안압계로 안압을 측정하고 6분에는 앞방각 이미지도 함께 촬영하였다. 6분 후 스마트폰 사용을 중단하고 2분간 휴식을 취하였다. 8분에는 안압 측정만을 시행하였다.
결과: 36명의 대상자가 참여하였으며 스마트폰 사용 전의 안압과 비교했을 때 스마트폰 사용 후에 2분째부터 의미 있게 안압이 증가하였고 4, 6분째에도 안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스마트폰의 사용을 종료하고 2분간 휴식 후 8분째에 안압은 스마트폰 사용 전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1.00). 스마트폰 사용 후 앞방 깊이는 감소하였으나(p<0.05) 앞방각 넓이는 넓어졌다(p<0.05).
결론: 실내 조명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 안압이 상승하지만 이는 앞방각의 변화와 상관이 없다. 녹내장 발생의 위험이 있는 환자나 녹내장 진행에 대해 주의가 필요한 환자에서는 이에 대한 주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changes in intraocular pressure (IOP) and iridocorneal angle (ICA) configuration during smartphone use under room light.
Methods: We included healthy adults aged 19-35 years with no ophthalmological abnormalities. All read text on a smartphone for 6 minutes under room light. IOP was measured via rebound tonometry at baseline and at 2, 4, and 6 minutes. ICA images were obtained via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fter each IOP measurement. After 6 minutes, participants stopped reading text and rested for 2 minutes. IOP was then measured again.
Results: The IOP significantly increased at 2, 4, and 6 minutes of reading compared to baseline (p < 0.001) but recovered to baseline after 2 minutes of rest (p = 1.000). The anterior chamber depth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anterior chamber angle width increased after 6 minutes of smartphone reading (both p < 0.05).
Conclusions: IOP increased when reading smartphone text under room light but the ICA did not change. Prolonged smartphone reading is inappropriate for a patient at risk of glaucoma or glaucoma progression. Such patients should be cautioned.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하사근을 침범한 안와의 Phakomatous Choristoma 1예
- 실내 조명 아래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 앞방각 모양 및 안압의 변화
- 빅 데이터를 이용한 뚜렛증후군 환자와 관련된 안과적 임상양상의 유병률 조사
-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에서 베바시주맙치료 결과
- 광범위한 속눈썹증과 두줄속눈썹에서 모낭을 포함한 눈꺼풀테부분절제술의 효과
- 단독 하사근염으로 발현한 특발안와염 1예
- Curtobacterium pusillum에 의한 개방안구손상 후 안내염
- 최근 10년간 국내 녹내장 진단 현황 변화
- Travoprost와 Tafluprost의 안압 및 안구박동 크기 변화에 대한 연구
- 국내 아이스텐트와 아이스텐트 인젝트의 백내장 병합술 성공률 비교와 예후 인자 분석
- 동물용 접종 주사바늘에 수상 후 발생한 안내염 및 망막박리
- 결절맥락막혈관병증에서 인도시아닌그린 혈관조영술과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의 비교
- 망막박리와 동반된 출혈성 거대망막낭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애플리버셉트로 교체투여 후 추적 관찰 중 나타나는 제한적 치료 반응
- 샤임플러그 사진기로 측정한 전면각막곡률값과 총각막곡률값 차이에 따른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 낭내 인공수정체 삽입 후 광학부-지지부 연결 부위 봉합을 이용한 공막고정의 효과
- 이전에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시행 후 발생한 인공수정체탈구에서 공막고정술 재수술의 결과
- 외사시와 동반된 수직사시에서 수평근의 수직전이 효과
- 한국인에서 개정된 눈 사르코이도시스 진단 기준의 임상적 효용성에 대한 분석
- 눈물관막힘으로 발견된 소세포신경내분비암종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신건강 중재에 대한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부모 매개 중재(Parent-mediated intevention)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