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통문항 비동등집단 설계에서 구성형 문항의 IRT 관찰점수 동등화 방법 비교
이용수 247
- 영문명
- Comparison of IRT observed score equating methods for CR items under the common-item nonequivalent groups design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송윤아(Yoon Ah Song) 최지원(Jiwon Choi)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4권 제3호, 565~58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공통문항 비동등집단 설계에서 구성형 문항의 IRT 관찰점수 동등화의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한 모의실험 연구로, 다음 세 가지 조건을 사용하여 동등화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구성형 문항만을 공통문항으로 사용하여 일차원 IRT 모형을 적용하였다. 둘째, 구성형 문항과 외부(external) 선택형 문항을 공통문항으로 사용하여 일차원 IRT 모형을 적용하였다. 셋째, 구성형 문항과 외부 선택형 문항을 공통문항으로 사용하여 다차원 IRT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의 제한된 조건에서 공통문항에 구성형 문항만을 사용하는 것보다 선택형 문항을 함께 사용했을 때 동등화 결과가 더 정확하였다. 즉, 1) 다차원 IRT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2) 표본 크기가 클 경우, 그리고 3) 선택형 문항에서 집단 간의 능력 차이가 작을 때 구성형 문항의 동등화의 정확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문항의 수가 많고 점수 범주의 수가 적을 때 구성형 문항의 동등화 결과가 정확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imulation study evaluated the equating accuracy of constructed-response (CR) items by using IRT observed equating methods under the common-item nonequivalent groups design for the following conditions: 1) CR items were only used as common items with the unidimensional IRT models; 2) CR items and external SR items were used as common items with the unidimensional IRT models; 3) CR items and external SR items were used as common items with the multidimensional IRT mode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ccuracy of the CR item equating can be improved by adopting external SR items compared to equating only CR items under some restricted conditions, which are 1) multidimensional models, 2) large sample size, and 3) small group difference in SR items. In general, more items with fewer score categories lead to a greater equating accuracy for CR item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취평가제의 대학입학전형 활용 실제 탐색
- 혼합형 검사에서 공통문항의 비율과 구성 방식이 Bi-Factor MIRT 관찰점수 동등화에 미치는 영향
- 공통문항 비동등집단 설계에서 구성형 문항의 IRT 관찰점수 동등화 방법 비교
- 이요인 명명반응 모형을 위한 다차원 IRT 척도연계 방법
- 교실내 인지진단을 위한 인지요소별 문항점수평균(ABISA) 활용 모형과 그 신뢰도
- 프로세스 데이터를 활용한 응답속도와 정확도의 관계 분석
- 대학 핵심역량 진단에서 자기보고식 응답에 대한 공통상황문항을 이용한 척도조정 방법
- 점수 연계 방법과 표집 크기에 따른 Hieronymus 방법에 의한 수직 척도 속성의 차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