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녀의 발레 콩쿠르를 지원하는 학부모의 인식
이용수 166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f Parents Perceptions of Supporting Children s Ballet Concours: Their Participation in the Ballet Art Class for Children in a Private Cultural Cent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수연(Kim, Sue-Yeon) 원영신(Won, Young-Shin) 정원정(Chung, Won-Ch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7호, 83~10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15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문화센터의 발레 작품반 수업을 통해 콩쿠르에 참여한 유아 및 아동의 사례를 선정하여, 취미로 발레를 배우면서 콩쿠르까지 참여하게 된 과정의 경험과 의미에 대해 학부모의 인식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서울소재 H백화점 문화센터 작품반에 참여하는 유아 및 아동의 학부모 5명을 대상으로 단체면담 및 개별심층면담을 통한 질석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사례 별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통해 의미를 해석하였다.
결과 문화센터의 발레 수업 참여 배경으로는 취미로 발레를 배우기에 충분한 교육기관, 학부모의 시간을 활용하기에 적절한 공간, 신체활동의 일환으로 선택한 발레, 예쁜 몸·바른 자세 다지기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작품반 활동을 통한 콩쿠르 참여 경험의 의미는 부모 주도 선택에서 자녀 주도적 활동으로의 이행, ‘보여지는 나’를 위한 자녀의 즐거운 노력, 선생님 덕분에 찾아온 기회, 품 안의 자식, 무대 위 우뚝 선 모습을 바라봄, 우물 안 개구리라도 괜찮아 결과가 도출되었다. 자녀의 발레 콩쿠르를 지원하는 학부모의 인식은 유아동기 교과목으로써 충분한 가치가 있는 발레, 콩쿠르 참여로 인한 자녀의 성과 : 도전정신과 자신감, 취미 또는 전공의 결정 요인 : 자녀의 재능과 의지·타고난 몸·엄마의 지원 여건의 결과가 나타났다. 학부모에게 있어서 자녀의 발레를 지원하는 것의 의미는 자녀를 위한 시간적 투자 및 활용적 특면, 예체능 교육 지원 및 대리만족, 자녀의 또 다른 모습을 발견하고 이해하는 기회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첫째, 현재 공교육 기관에서 시행되는 특별활동이 학부모들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문화센터와 같은 기관에서는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유아 및 아동에게 예체능 교육을 지도함에 있어, 교육 내용 뿐 아니라 참여자의 동기를 부여하고 새롭게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장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에게 있어서 입시에 필요한 교과목 뿐 아니라 예체능 및 취미 활동까지 포함한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사회 전반의 인식이 개선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학부모에게 있어 자녀의 발레를 지원하는 것은 자녀의 어린 시절을 좋은 경험으로 채워주고 싶은 부모의 마음이자 적극적인 소통의 양육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녀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cases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competition through the ballet art class at the Cultural Center, an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parents about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process of learning ballet as a hobby and their participating in the competition.
Methods This study applied a qualitative case metho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and meanings of parents who support their children s ballet competition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five parents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work class at the a private Cutural Center in Seoul.
Results Cultural center s background for participation in ballet classes is as follows: An educational institution sufficient to learn ballet as a hobby, An appropriate space to use the parents time, A ballet selected as part of physical activity, A beautiful body and good fit, and the results of tightening posture. As for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contest through work class activities: The transition from parent-led selection to child-led activities, Children s joyful efforts for ‘the visible myself’, Opportunities that came thanks to teachers, Looking out to be pround of the children on the stage, It was okay to have ‘a frog in the well’. Parents perceptions of supporting their children s ballet competitions: Ballet that has sufficient value as 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Children s achievements from participation in the competition: challenge spirit and confidence, Hhobbies or major determinants: child s talent and the will, the innate body, and support of the mother. And the results were drawn as follows: For parents, the meaning of supporting the child s ballet:It is an investment in a time dimension and it is also useful, Support for arts and sports education and vicarious satisfaction, An opportunity to discover and understand another aspect of the child.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so that the special activities currently implemented in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can meet the needs of parents, and institutions such as cultural centers must make continuous efforts to provide quality educational services. Second, in instructing arts and sports education to infants and childr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not only educational content but also a place to motivate participant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new challenges. Third, the overall perception of society should be improved so that students can enjoy leisure activities including not only subjects required for entrance exams, but also arts and sports and hobbies,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for this. Fourth, for parents, supporting their children s ballet can be said to be a parent s desire to fulfill their children s childhood with good experiences and a nurturing process of active communication, and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hat they can better understand their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학습 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Career Barrier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of Liberal Arts of K-University in Sichuan Province of China
- 한 상담자의 열등감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열등감 성찰과 재해석
- 트라우마상담 학부 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연구
- 한국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동향 분석 연구
- 여대생의 문제음주 회복경험
- 은유 분석을 통해 본 학대, 체벌, 훈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고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 학생대상 생애관점에서의 직업기초역량 측정도구 개발
- 리좀 기반 온라인 창작 학습 모형
- 여대생의 월경전불편감과 월경태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력의 매개효과
-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 과거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초기 성인기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 19 사태에서 중국유학생의 적응과정 사례연구
-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실시간 팀별 표상활동이 지식습득과 확산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코칭역량이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체육수업에서 학습환경이 중학생의 학습성향 및 체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IPA 분석
- 팀기반 협력학습 적용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
- 유아놀이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 한국어와 일본어의 동형 한자어 비교 연구
- 목표 기반 시나리오를 활용한 사회과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세계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 대만 내 한국어 전공자들의 학습 동기·외국어 불안 상관관계 연구
- 위험한 놀이와 안전한 놀이에 대한 유아의 인식 탐구
- 사회참여활동을 적용한 과학교양 수업설계와 학습자의 사회참여인식 변화
- 장애 위험 유아의 발달 검사 권유 과정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어려움
- 정맥주사 교육프로그램이 신규간호사의 정맥주사 지식, 수행자신감, 일차성공률에 미치는 효과
- 육아종합지원센터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와 종사자의 인식 비교
- 연변과학기술대학의 실례로 고찰한 한중 대학영어교육의 비교연구
- 지각된 수퍼바이저 스타일이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신학전공대학생의 진로소명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양육태도, 친구지지, 교사지지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예비 화학교사들의 유기화학 학업성취도와 Kolb 학습양식과의 상관관계
- P대학 퍼스널 브랜딩 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경험 탐구를 통한 프로그램 개선 방안 모색
- 사회복지실천가가 인식하는 사회복지사의 역량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자료에 나타나는 결속 장치 사용 연구
- New Cabri를 이용한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및 적용
- 예비유아교사의 플립드러닝을 활용한 수업이 자아존중감, 전문성 인식, 교사역량에 미치는 효과
- 예비체육교사 교육자의 교수능력 함양 중심 수업시연 운영에 관한 셀프연구
- 미래적응력 강화를 위한 퓨처디자인씽킹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체육계열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가 전공 만족도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간중심접근 상담자들의 치료적 조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국가영재교육프로그램 기준에 기반을 둔 중학교 단계의 탈학문적 통합단원 개발 모형 구축
- 영어 어휘학습 전략사용과 어휘지식 하위요소에 관한 연구
-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영어교육에서 언어 기능 통합 과제의 유형과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축구심판들의 조직공정성과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시민성 함양을 위한 문학비평 수업 사례 연구
- 과학과 역량 및 기능 체계화 방안에 대한 연구
- 온라인 환경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가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학교급지별 초등학생들의 문화자본과 창의적 인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 중학교 실험·공방형 무한상상실 기반의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언어적·비언어적 관점에서 남녀 초등 예비교사의 교실영어 분석
- 대학생의 건강상태가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장애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교육의 뉴노멀로서 온라인교육 시행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
- 다이얼로그플로우를 활용한 대화형 AI 챗봇 제작 및 초등 영어 수업에의 적용
- 지역사회 정신건강 융합실습 수업이 대학생의 지역사회 정신건강개념 인식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자녀의 발레 콩쿠르를 지원하는 학부모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Chinese Marxism studies Vol.2 No.4 Contents
- 马克思“世界文学”思想:生成审思、意涵揭橥与启示探赜
- 毛泽东建构中国共产党形象的核心要义、历史经验及现实启示——重读《〈共产党人〉发刊词》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