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자료에 나타나는 결속 장치 사용 연구
이용수 500
- 영문명
- A Study of Cohesive Device in the Speaking Test of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안령주(An, Lingzh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7호, 265~27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15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말하기 자료에 나타나는 한국어 학습자의 결속 장치 사용 유형과 빈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양적 통계와 질적인 서술로 숙달도별에 따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험자들의 한국어 말하기 시험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어 결속 장치 사용 양상과 경향을 살펴보았다. 제3차 한국어능력시험 말하기 평가개발 연구에서 실시한 말하기 시험을 참석한 초,중급 학습자 60명을 대상으로 시험 문항에 대한 녹음 파일 360개를 전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고는 결속 장치를 ‘지시, 접속, 어휘 반복’으로 분류하여 그 사용과 특징을 양적인 통계와 질적인 서술로 규명하였다.
결과 지시, 접속, 어휘 반복 결속 장치를 분석한 결과, 지시 표현에는 두 집단 모두 “그>이>저” 순서로 많이 사용하였으나 “그” 계열의 지시 표현을 잘못 이해하거나 감투사로 사용하는 것이 빈번히 발견되었다. 접속 표현 같은 경우에는 초급 학습자는 확대>강화>설명 순서로 사용 빈도가 높았고 중급 학습자의 경우 강화>확대>설명 순서로 자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휘 반복 표현은 세 가지 결속 장치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는데 중급의 경우 초급보다 2배 가량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의어나 유사한 단어, 상하위어 항목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에게 지시 표현을 정확하게 이해를 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고, 내용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동일어만 반복하는 것보다 유의어나 상하위어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여 다양한 어휘 반복을 할 수 있도록 가르칠 필요가 있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s the Korean speaking test by Korean language learners to examine discourse cohesion shown upon using cohesive device.
Methods The data collected 60 beginner and intermediate learners, 360 recorded files of test question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It focuses on the use of conjunction, reference and lexical reiteration devices as a cohesive device.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conjunction, reference, lexical reiteration cohesive devices, both groups used a lot of “그>이>저”, but it was mainly found misunderstanding and use of reference expressions of the “그”. In the case of conjunction, beginner learners have mainly used ‘expansion> reinforcement> explanation, and intermediate learners frequently used reinforcement> expansion> explanation. Lexical reiteration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three cohesive device, but the intermediate learners was twice as high as that of the beginner learners. In addition, there were almost no synonyms, similar words, or upper and lower words.
Conclusions Through this paper, the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condensation systems needed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herefore, It should be taught more actively at the teaching sit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결속 장치의 사용 양상과 빈도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학습 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Career Barrier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of Liberal Arts of K-University in Sichuan Province of China
- 한 상담자의 열등감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열등감 성찰과 재해석
- 트라우마상담 학부 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연구
- 한국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동향 분석 연구
- 여대생의 문제음주 회복경험
- 은유 분석을 통해 본 학대, 체벌, 훈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고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 학생대상 생애관점에서의 직업기초역량 측정도구 개발
- 리좀 기반 온라인 창작 학습 모형
- 여대생의 월경전불편감과 월경태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력의 매개효과
-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 과거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초기 성인기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 19 사태에서 중국유학생의 적응과정 사례연구
-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실시간 팀별 표상활동이 지식습득과 확산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코칭역량이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체육수업에서 학습환경이 중학생의 학습성향 및 체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IPA 분석
- 팀기반 협력학습 적용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
- 유아놀이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 한국어와 일본어의 동형 한자어 비교 연구
- 목표 기반 시나리오를 활용한 사회과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세계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 대만 내 한국어 전공자들의 학습 동기·외국어 불안 상관관계 연구
- 위험한 놀이와 안전한 놀이에 대한 유아의 인식 탐구
- 사회참여활동을 적용한 과학교양 수업설계와 학습자의 사회참여인식 변화
- 장애 위험 유아의 발달 검사 권유 과정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어려움
- 정맥주사 교육프로그램이 신규간호사의 정맥주사 지식, 수행자신감, 일차성공률에 미치는 효과
- 육아종합지원센터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와 종사자의 인식 비교
- 연변과학기술대학의 실례로 고찰한 한중 대학영어교육의 비교연구
- 지각된 수퍼바이저 스타일이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신학전공대학생의 진로소명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양육태도, 친구지지, 교사지지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예비 화학교사들의 유기화학 학업성취도와 Kolb 학습양식과의 상관관계
- P대학 퍼스널 브랜딩 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경험 탐구를 통한 프로그램 개선 방안 모색
- 사회복지실천가가 인식하는 사회복지사의 역량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자료에 나타나는 결속 장치 사용 연구
- New Cabri를 이용한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및 적용
- 예비유아교사의 플립드러닝을 활용한 수업이 자아존중감, 전문성 인식, 교사역량에 미치는 효과
- 예비체육교사 교육자의 교수능력 함양 중심 수업시연 운영에 관한 셀프연구
- 미래적응력 강화를 위한 퓨처디자인씽킹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체육계열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가 전공 만족도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간중심접근 상담자들의 치료적 조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국가영재교육프로그램 기준에 기반을 둔 중학교 단계의 탈학문적 통합단원 개발 모형 구축
- 영어 어휘학습 전략사용과 어휘지식 하위요소에 관한 연구
-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영어교육에서 언어 기능 통합 과제의 유형과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축구심판들의 조직공정성과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시민성 함양을 위한 문학비평 수업 사례 연구
- 과학과 역량 및 기능 체계화 방안에 대한 연구
- 온라인 환경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가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학교급지별 초등학생들의 문화자본과 창의적 인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 중학교 실험·공방형 무한상상실 기반의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언어적·비언어적 관점에서 남녀 초등 예비교사의 교실영어 분석
- 대학생의 건강상태가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장애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교육의 뉴노멀로서 온라인교육 시행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
- 다이얼로그플로우를 활용한 대화형 AI 챗봇 제작 및 초등 영어 수업에의 적용
- 지역사회 정신건강 융합실습 수업이 대학생의 지역사회 정신건강개념 인식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자녀의 발레 콩쿠르를 지원하는 학부모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Chinese Marxism studies Vol.2 No.4 Contents
- 马克思“世界文学”思想:生成审思、意涵揭橥与启示探赜
- 毛泽东建构中国共产党形象的核心要义、历史经验及现实启示——重读《〈共产党人〉发刊词》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