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일교육 이념 정립을 위한 연구

이용수  279

영문명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Ideology
발행기관
한국통일교육학회
저자명
안승대(An, Seung-Dae)
간행물 정보
『통일교육연구』제18권 제1호, 5~3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통일교육의 이념을 정립해 보고자 하는 것에 연구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교육은 민족 민주 평화의 세 가지 가치를 중요시해왔으며, 이는 통일교육의 3대 영역별 교육을 이끌어가는 이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통일교육이 통일지향적인 가치와 태도 함양, 통일의식 함양을 목표로 하는 교육이라는 점에서 통일교육의 기본이념 핵심이념은 통일의식 형성, 통일인 양성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 즉 통일교육이념은 통일의식함양을 기본이념 핵심이념으로 하며, 이를 떠받치는 주요 영역별 교육이념으로는 민족 민주 평화의 3대 이념을 들 수 있다. 둘째, 통일교육의 기본이념인 통일(의식 함양)의 이념과 영역별 이념인 민족 민주 평화의 이념의 상호관계는 다음과 같다. 민족, 통일 무용론 내지는 폐기론은 민족주의에 대한 일면적 이해의 문제, 저항 민족주의로서 한반도 민족주의의 특성을 간과 한 점 등에서 재고되어야 하며, 민족주의는 통일을 지향한다는 점, 민족적 리비도의 부활과정이 통일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이념적 자원이다. 한반도의 가장 근본적인 폭력의 원인, 비평화적 현상의 근원이 분단이라고 하였을 때, 통일은 평화의 실현과정 그 자체이며, 통일과 평화는 함께 하는 하나의 여정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통일과 민주의 이념 역시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 셋째, 통일교육이념은 각각의 교육을 이끄는 지도원리이자 지도이념이다. 기본이념인 통일(의식함양)의 이념은 통일형성교육을, 영역별 이념인 민족 민주 평화의 이념은 각각 통일을 위한 민족교육, 통일을 위한 민주시민교육, 통일을 위한 평화교육 을 이끌어가는 지도이념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ideology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fication education has valued the three values of national democratic peace, which is an ideology that leads to education in the three major areas of unification education. However, given that unification education is aimed at fostering unification-oriented values and attitudes, and cultivating unification awareness, the core concepts of unification education need to be established as forming a sense of unification and fostering unification people.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core ideology of unification, and the three major ideologies of national democratic peace are the major educational ideologies that support it. Seco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deology of unification (cultivating consciousness), which is the basic ideology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ideology of nation, democracy and peace, which is the ideology of each area, is as follows. Nationalism, unification uselessness should be reconsidered in terms of the issue of a one-sided understanding of nationalism, the negl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onalism as resistance nationalism, and the revival process of national libido. When the most fundamental cause of violen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ource of non-peaceful phenomena are divis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unification is a process of realizing peace itself, and unification and peace are a journey together. The ideology of unification and democracy is also complementary. Third, the idea of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guiding principle and guiding ideology of each education. The basic ideology of unification is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ideology of nation, democracy and peace, which is the ideology of national unification,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unification, and peace education for unif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통일교육이념 : 기본이념과 영역별 이념
Ⅲ. 통일교육 이념들 간의 상호 관계
Ⅳ. 이념별 통일교육의 내용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승대(An, Seung-Dae). (2021).통일교육 이념 정립을 위한 연구. 통일교육연구, 18 (1), 5-31

MLA

안승대(An, Seung-Dae). "통일교육 이념 정립을 위한 연구." 통일교육연구, 18.1(2021): 5-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