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간적 구조에 따른 공공갈등의 영향범위 분석
이용수 12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Public Conflicts on the Spatial Structure
- 발행기관
- 한국비교정부학회
- 저자명
- 김강민(Gang-M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비교정부학보』제25권 제2호, 81~11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initial stakeholders when using conflict management systems. The scope of interested parties may be reasonably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olicies. Accurately establishing the distribution diagram of stakeholders,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consensus formation process can be clearly diagnosed and managed.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 The main view of characteristics is the study of measuring the distribution of stakeholders in spatial settings. The main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based on cross-analysis, and the intensity of conflict was derived from the average value. (Findings) First, In the case of dots, conflict resolution through conflict mediation consultative body is effective because stakeholders are specific and narrow. Second, In the case of lines, strategic conflict management is required due to wide stakeholders and different environments. Third, Because area and nationwide conflicts have many ideological conflicts, promotion should be preceded by stakeholder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policies. The next step is to choose one of the various deliberative processe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This study has the originality of approaching the view of conflict research from a spatial(point, lines, area and nationwide) perspective. Effective conflict management requires the results of spatial research to be approached 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level and included in the early stages of conflict impact analysis. We also lay the groundwork for collecting more objective data by conducting research around the physical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conflict man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Ⅲ. 공공갈등의 구조분석
Ⅳ. 공간구조에 따른 구조비교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초자치단체 문화재단 조직 재설계에 관한 논의
- 공간적 구조에 따른 공공갈등의 영향범위 분석
- 한국 경찰관의 공공봉사동기 영향요인의 탐색
- Public Deliberation on Nuclear Energy Policy in Korea: The Impact of Trust in Information Providers
- 대학 국제연구협력 강화를 위한 대학교 국제연구협력 동향 분석
- The Effects of Local Variables on Economic Growth in Korea, 2010-2017
- Cutback Management, Fiscal Stability, and Fiscal Outcome
- 정부결산에서 정책결산에 대한 미국, 영국, 한국의 비교연구
- 중소기업의 혁신지원정책에 대한 인식과 혁신 성공 경험이 정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소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지방대학의 위기 분석과 그 극복 방안
- 은둔형 외톨이 극복자들의 활동 확대를 통한 지방소멸 방지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