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80-90년대 민주시민교육 담론 고찰
이용수 144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scuss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1980-90s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민주평화연구원
- 저자명
- 정병곤(Jeong, Byunggon)
- 간행물 정보
- 『민주평화연구』제4권 제1호, 19~4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Korea has witnessed the historic change in the 1980s and 1990s called democratization helped by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June 10 uprising. However, the division of the opposition party loosened the thoroughgoing change from the authoritarian system to the democratic one emphasizing citizenship education. This essay studies the phase of this transitional period when the gradual change of society happened but came into conflict with the conservative people. I separate the 1980s and the 1990s and explain the former around the Social Education Law, President Chun Duwhan regime established and the latter around the Lifelong Education Law. Through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thwarted, producing other regulations. In that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means the methodological utility of constructing community spirit, not by coaxing or enforcing the people into an ideology, this study should affect more discourse about the Korean politics
목차
Ⅰ. 서론
Ⅱ. 민주시민교육 담론형성의 난제로서 개념인식의 문제
Ⅲ. 1980년대 민주화운동 시기의 민주시민교육 담론
Ⅳ. 1990년대 민주시민교육 제도화의 희망과 평생교육으로의 변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