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별과 남녀공학 학교환경에 따른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프로파일 차이와 변화분석
이용수 310
- 영문명
- Self-perceived Social Communication Competence Profile of Korean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and Coeducation Difference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은주(Eun Ju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6. no.2, 366~391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2013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급(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과 성별(남학생, 여학생), 성별구분학교(남녀공학 남학생, 남녀공학 여학생, 여학교 학생, 남학교 학생) 집단에 따른 국내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SCC) 프로파일 차이와 변화를 분석하였다. 방법: 독립변수에 대해서는 교차분석(χ2 test) 차이검증을 실시하고, 성별(남, 여)과 학급(중2, 고1), 성별구분학교(남녀공학 남학생, 남녀공학 여학생, 남학교 학생, 여학교 학생) 독립변수에 따른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SCC 10문항, 공감, 소통능력, 종합점수) 차이검증은 다변량분석(MANOVAs)을 실시하였다. 결과: 1) 의사소통 기술과 사회인지, 화용언어 사용역은 성별과 성별구분학교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이외 대부분의 SCC에서는 여학생의 평가가 높았다. 2) 남녀공학 상황에서 남학생은 사회적 능력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다(F(3, 3029)=2.88, p<.05; F(3, 3029)=2.58, p=.052). 3) 남학생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사회적 능력과 친사회적 능력에 대한 평가가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F=12.37, p<.001; F=17.29, p<.001). 4) 남학생은 중학교때 남녀공학 경험이 사회적 능력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영향을 미쳤으며, 여학생은 여자중학교 남녀공학 고등학교 재학 경험이 전반적인 SCC 평가평균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논의 및 결론: SCC 문항 평가와 점수는 성별과 학급 또는 성별구분학교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임상가는 청소년에 대한 SCC 평가와 결과에 대한 해석, 그리고 중재에 있어 성별 및 학교배경 요인을 고려해야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data of 2013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KELS), a Korean adolescents’ panel study, to examine the soci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C) development by gender and coeducation. Methods: Data from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and first year of high school were used in the “2013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conducted on Korean adolescents. Group differences (gender 2: male and female; coeducation 4: coeducation girls, coeducation boys, boys’ school, girls’ school; class 2: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e SCC questionnaire scores were analyzed using MANOVAs. Results: 1) Communication skill, social cognition, and the pragmatic language register did not differ depending on gender and coed groups, but most other SCC skills exhibited a high evaluation of female students. 2) In coeducational situations, boys had improved social abilities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F(3, 3029)=2.88, p<.05; F(3, 3029)=2.58, p=.052). 3) As the age of boys increased, the evaluation of their social & pro-social abilities in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female students (F=12.37, p<.001; F=17.29, p<.001). 4) Boys’ experience in coeducation affected their social ability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while girls’ experience in girls’ middle school and coeducational high school affected their SCC evaluation average improvement. Conclusion: SCC scores can be influenced by gender and class or coeducation factors, so clinicians should consider gender and school background factors in their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f SCC assessment for adolescent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기의 원시발성 산출과 가정 언어 환경
-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KBPR (Korean Brief Parent Report)과 작업기억 능력 간의 관계
- 자가음성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비대면 음성치료의 효과
- 의미자질(SFA) 중재가 주관적 기억장애 노년층의 유명장소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게이미피케이션 기반의 형태론적 쓰기중재가 쓰기부진 아동의 자소-음소 불일치 어절 쓰기에 미치는 영향
- 시각적 피드백 유무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청년의 음성조절능력
- 성별과 남녀공학 학교환경에 따른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프로파일 차이와 변화분석
- 우리나라 지역사회 거주 정상 노년층에서 관찰되는 삼킴 곤란 주호소
- 2-3세 아동의 자발화에서의 조사사용 발달
- 진행성 실어증 환자의 보호자 보고에 의한 의사소통 관련 주호소의 주제 및 빈도 분석
- Speech Language Profile Group (SLPG) 분류체계에 따른 뇌성마비 아동의 하위그룹 분포 및 판별요인 분석
- 이야기 회상 과제에서 나타난 학령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제스처 산출 특성
- 전자구개도(EPG)를 이용한 한국어 치경마찰음 /ㅅ, ㅆ/의 조음운동적 특성
- 18-35개월 영유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부모-교사 평가 비교
- Relationships between Hearing Symptoms, Attitudes toward Noise, and Use of Hearing Protection among College Students
- 단어 친숙도와 음소 난이도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조음 정확도 및 변이성
- 18-36개월 말 늦은 아동과 생활연령 및 표현어휘능력이 일치하는 일반 아동의 초기 어휘발달의 차이
- 작업기억용량 및 인지부하가 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청년과 노년 집단 간 수행비교: 시선추적 연구
- 담화모드와 담화유형을 고려해서 본 초등 고학년 발달성 난독 학생의 담화 이해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