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및 향후 과제 고찰

이용수  6

영문명
Review of Supports and Future Directions to Promote Access to Health and Medical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이숙향(Lee, Suk-Hyang) 홍주희(Hong, Ju-Hee)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0권 제2호,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장애인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장애인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의료서비스의 격차가 가시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및 향후 과제를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국내외에서 발표된 장애인의 보건의료서비스 관련 문헌 91편(국내 18편, 국외 73편)을 선정하여 연구동향 및 지원방법에 대한 심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동향 분석결과 국내외 모두 2000년 초반부터 관련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실태 및 지원요구’에 대한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연구대상의 경우 국내외 모두 장애인당사자가 참여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나 국외는 지적장애성인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비해 국내는 상대적으로 지적장애성인의 의료서비스 접근 및 이용에 중점을 둔 연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국외연구를 중심으로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증진을 위한 장애인당사자 및 주변인, 의료인의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교육적, 의료적/정책적 지원방법이 제공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장애인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증진을 위한 향후 과제를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1) 장애인의 건강관리 및 의료적 자기결정에 대한 연구 활성화, 2) 장애인 및 관련인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적 지원 방안 개발, 3) 보건의료서비스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전달체계 구축.

영문 초록

Purpose: As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in the field, the importance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been more emphasized. However, health disparity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y is still one of the biggest issues that need to be solved i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upports and future directions to promote access to health and medical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purpose, 91 articles(domestic 18, foreign 73) regarding health and medical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which were published since 2000.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opic regarding current status and needs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s was addressed the most frequently. In terms of participants,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ies most frequently, and most of them wer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ddition, various educational and medical/institutional supports were provide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ir family, and medical professional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future directions were suggested to promote access to health and medical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follows: 1) Facilitating research about promoting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ir health care and medial services, 2) developing educational supports and intervention to enhance capaci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ir family, and medical professionals, and 3) building collaborative delivery system to promote access to health and medical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숙향(Lee, Suk-Hyang),홍주희(Hong, Ju-Hee). (2017).장애인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및 향후 과제 고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0 (2), 1-31

MLA

이숙향(Lee, Suk-Hyang),홍주희(Hong, Ju-Hee). "장애인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및 향후 과제 고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0.2(2017):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