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학교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Special Educators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and Their Needs of Special Education Classroo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Focused on Incheon Metropolitan City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표윤희(Pyo, Yun-Hui) 이희연(Lee, Hee-Yeon) 김경양(Kim, Kyung-Yang)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0권 제2호, 33~6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을 분석하고,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급 교사 14명이고, 자료 수집은 4인 포커스그룹면담, 8인 포커스그룹면담, 2인 포커스그룹면담으로 구성된 총 3회기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회기 당 면담시간은 1시간 30분에서 2시간이었다. 연구결과: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실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어려움,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지원요구 등이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통합교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cial educators’ experiences o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search for way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A total of 14 special educators of special education classroo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a purposive sampling. The research design consisted of three in-depth interview sessions including 1st focus group interview for 4 participants, 2nd focus group interview for 8 participants, and 3rd focus group interview for 2 participants in consideration of participants schedule. The interview time per session was 1 hour 30minutes to 2 hours. Results: The results presented the special educators’ perception about th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urrent practices, and requirements to facilitat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to facilitate quality of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뇌성마비 아동의 호흡기능과 기능적 독립성 수준의 상관관계
- 장애인 직업만족, 일상생활 만족, 자아존중감의 관계 연구
- 만성·희귀난치성질환 아동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 발달장애 초등학생을 위한 특수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 활용 실태 및 인식
- 장애인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및 향후 과제 고찰
- 사회적기업의 중증장애인 고용 확대 가능성
- 보완대체 의사소통 활용 상대방 중심 질문하기 중재가 중도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일반학교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 활성도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