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중복장애학생 지도교사의 교육과정 수용에 대한 문화기술지
이용수 1
- 영문명
- An Ethnography on Accessibility of Teachers on Revised National Basic Curriculum 2008 in Korea School For the Blind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황정현(Whang, Jurng-Hyu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4권 제1호, 217~23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과정 수용의 주체인 교사들의 시각에서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일반적인 교육과정인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이수에 어려움을 겪는 시각중복장애학생들을 위해 교사들이교육과정을 수용해 가는 경험의 의미를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2명의 시각중복장애학생 지도교사들을 면접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중복장애학생 지도교사들이 개별화교육계획 및 교수·학습 계획의 수립을 위해 가장보편적으로 수용을 경험한 교육과정은 기본교육과정이었고, 이러한 수용의 경험에 대해 교사들은 단순히 국가 수준의 제시를 답습하거나 모방하는 것이 아닌 주체적으로 교육과정을해석하고 수용하는 능동적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중복장애학생지도교사들이 요구하는 실천적, 정책적 접근 방향을 제시하였다. 시각중복장애학생을 위한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로 중도장애 교육현장에서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있으리라 본다.
영문 초록
This ethnographic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Accessibility of Teachers on Revised National Basic Curriculum 2008 in Korea School For the Blind. The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Accessibility of Teachers on Revised National Basic Curriculum 2008 and suggested Revised National Basic Curriculum 2008 in Korea School For the Blind to improve their Curriculum through ethnographic research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March 2009 and March 2010. 12 teacher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Other Disabilities as information providers report a proactive step on accessibility on the basic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ults, requir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Other Disabilities that suggested practical guidance and policy direction proposed approach.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중복장애학생 지도교사의 교육과정 수용에 대한 문화기술지
- 지체장애 대학생의 규칙적인 운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효과
- 특수학교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적용 학생의 학업성취평가 실태와 향후 과제
- 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직업교육 중심의 평생교육 모델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
- 특수교육 현장에서 ‘보살핌’ 실천의 의미
- 지체장애 학생을 위해 특수교사에게 요구되는 보조공학 능력의 분석적 고찰
- 근이영양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 손기능 훈련을 적용한 감각통합그룹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손기능과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 최중도 지체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
-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핵심역량 요인 탐색
- 휴대폰을 이용한 자기점검중재가 발달장애 대학생의 과제수행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 성인용직업적성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