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라이트페인팅기법을 활용한 창작 헤어아트 제작 연구
이용수 54
- 영문명
- Light Painting Technique-based Creative Hairstyling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조영민(Young-Min Cho) 박은준(Eun-Ju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2권 제2호, 335~35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2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e early stages of hair art, up-styles were created using a mannequin or a model, and waste hair was mainly used. Recently, however, diverse hairstyles have been developed using a hybrid approach through the reanalysis of paintings and formative art styles. In addition, various materials have been adopted. Even though some previous hairstyles have used light painting, it has recently been more recognized as a tool. This study attempted to create light-painting styles, using light painting as an object, not as a tool. For this, long-exposure photography was employed. The goal was to use a light-painting technique, which itself becomes a work, not to suggest a style through photography. Among many light-painting tools, 3 tools with which diverse styles were expressed with light: Pixelsticks, optical fibers, and light panels. Then, hairstyling methods were attempted by creating abstract hair works through light-based light painting. In this study, a total of 8 different hairstyles were created to suggest new styling methods, using light painting under 8 different circumstances. Light painting can be expressed with dots, lines, and planes. This study adopted 3 tools: Pixelsticks, optical fibers, and light panels. These tools offer diverse colors and options, such as brightness control, thereby enabling various expressions. This study created hairstyles through light painting. It is anticipated that hairstyling techniques would become more diverse and further evolve, using a wide variety of materia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작품제작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NS 정보특성이 피부미용 소비행동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건강모의 열 펌 시술시 펌 1제의 환원제와 제형에 따른 웨이브효율 및 모발의 형태학적 분석
- 미용 전공 대학생의 비교과프로그램 참여 동기와 참여 지속의향의 관계에서 프로그램 유용성의 매개효과
- 미용전공 학생들의 플립러닝 학업태도가 학업성취도 및 지속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SNS 화장품 광고속성과 광고몰입, 구매의도의 연관성 연구
- 모임기반 SNS에서의 뷰티정보차원이 공유정보가치, 사회적 자본 및 동조성에 미치는 영향
- 뷰티종사자의 전문성이 고객신뢰에 미치는 영향
- 산학일체형 미용 도제학교의 교육서비스품질과 진로준비행동, 교육만족도 간의 연계성 연구
- 레트로 특성을 활용한 디지털 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 미용교육의 서비스 품질과 강사진정성이 팬쉽에 미치는 영향
- 몰로키아(Corchorus olitirius L.)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
- 미용사 과정평가형 자격제도의 인식이 활용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실기교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교육만족도와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전공 대학생의 직업의식, 자기효능에 관한 연구
- 여중생의 뷰티 유튜브 이용동기와 자아탄력성, 또래관계의 긍정적·부정적 요인과의 연계성 연구
- 미래 패션 커리큘럼 연구
- Z세대의 화장품 소비성향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추출물 분야 연구의 주름 관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피부미용에 사용되는 Glycolic acid를 함유한 여드름치료 발포세안제의 제조와 특성분석
- 라이트페인팅기법을 활용한 창작 헤어아트 제작 연구
- 네일샵 서비스품질에 따른 고객만족도가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 헤어살롱 종사자의 직무몰입, 임파워먼트, 고객지향성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