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중 기혼여성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이용수 45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in Korea and China:Focused on the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Hu Shuyao 김경신(Kyeong Shin Kim)
- 간행물 정보
- 『生活科學硏究』生活科學硏究 第30輯, 41~5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burnout of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in Korea and Chin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a general tendency of burnout and examined differences in a general tendency of burnout between two countries at first. Secondly,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evant variables on burnout, then submit proposals to reduce their burnout. Method: To achieve this, 287 data were collected from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by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survey in Gwangju, Korea and Qingdao, China. Results: the general tendency of its relative variables and group difference showed lower scores than a median in two countries. According to group difference, Chinese group showed a lower mean score in burnout than Korean group. The number of children and subjective economic level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the burnout only in Korean group. Social support, work-family conflic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urnout in two countries.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improving welfare policies of women social workers.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burnout by comparing the outcomes between two countr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