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인지에 미치는 변수들의 경로분석
이용수 57
- 영문명
- Path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Perceived Stres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최형운(Hyungwoon Choie) 유난숙(Nan Sook Yu) 이승진(Seung Jin Lee)
- 간행물 정보
- 『生活科學硏究』生活科學硏究 第30輯, 77~9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stres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by analyzing each variables and setting up research hypotheses and research model ba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analysis used data from the source database of The 14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as analysis data. The target of analysis was 60,040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from the fir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to the third grade of high school by 2018.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 WIN 19.0 and Mplus 7.0 programs,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hypothesis 2, 4, 5, 6, 7 and 8 were supported, hypotheses 1 and 3 were not supported. The results based on supported hypothe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et use time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body mass index(BMI), and the consumption of sweet drinks and fast food had a positive effect on BMI. Second, the internet use time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stress, and the BMI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stress. Third, the internet use time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sweet drink intake, and fast food intake indirectly affected the perception of stress through the BMI. Internet use tim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stress through mediation of BMI. Sweet drinks and fast food intake had negative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stress through mediation of BMI.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