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을 접목한 STEM (M⋅STEM) 수업모형 개발
이용수 78
- 영문명
- Developing M⋅STEM Instructional Model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황윤한(Hwang, Yunhan) 김고은(Kim, Goeun) 노원준(Noh, Wonjun) ⋅ 이지원(Lee, Jiwon) 이호준(Lee, Hojun) 추국현(Chu, Gukhyeon)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80집, 387~40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에겐 어렵고 힘들며 재미없는 STEM 교과들을 즐겁고 신나게 공부할 수 있도록 STEM 수업에 음악을 접목한 수업, 즉 M⋅STEM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이 M⋅STEM 수업을 하면서 수집한 음악 활동 자료들을 수업에 적용한 시기, 적용 대상, 그리고 교사용지도서가 제시한 세 가지 STEAM 학습 준거, 즉 상황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에 따라 분석하였다. STEM 수업의 흐름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M⋅STEM 수업의 모습을 체계화 시켰다. M⋅STEM 수업모형은 수업의 적용 시기와 적용 대상에 따라 ⅰ) 가사분석 모형(단원 도입 시기; 음악활동 경험이 적은 학급), ⅱ) 개사중심 모형(차시 및 단원 정리 시기; M⋅STEM 모형에 익숙해진 학급), ⅲ) 작사중심 모형(차시정리 유형(각 차시 마무리 시기; 개사 중심 모형을 경험한 학급)과 단원정리 유형(마지막 차시/단원 마무리 시기; 차시 정리/작사중심 모형을 완료한 학급)), ⅳ) 뮤직 비디오 제작모형(창의적 체험활동 시기; 활동 산출물 제작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하는 학급)으로 구분하였다. 연구자들이 개발한 M⋅STEM 수업 모형은 현장의 교사들의 평가를 통해 문항 신뢰도와 모형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EM instructional model incorporating music (M⋅STEM) so that students can enjoy and willingly studying STEM subjects that are hard, difficult, and uninteresting.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from their M⋅STEM classes for a year and a half. Three STEAM learning criteria suggested in the teacher s guide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guided the data analysis. These criteria are situational presentation,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experience. The most efficient M⋅STEM class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STEM lesson flow for the M⋅STEM instruction model. The M⋅STEM instructional model reflected the time for applying in the lesson and the instruction situation. This study suggests four M⋅STEM instructional models: 1) Analyzing the lyrics model (ALM), 2) Changing the lyrics model (CLM), 3) Writing the lyrics model (WLM), and 4) Producing a music video model (PMVM). A class with little experience in music activities can use the ALM for introducing a unit. Upon a lesson or a unit arrangement period, the students familiar with the M⋅STEM model can use the CLM. The WLM has two sub-model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type: lesson arrangement (LA-WLM) and unit arrangement (UA-WLM). At the end of a lesson and students with experience on the CLM can use the LA-WLM. At the end of a unit and with students with experience in LA-WLM can use UL-WLM. The last M⋅STEM model is the PMVM. Teachers use this model at the time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the students with experience on project learning to make the product. The M⋅STEM instructiona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has been secur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taught STEM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음악의 교육적 효과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M⋅STEM 수업 모형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전론(正戰論)의 도덕교육적 함의에 관한 연구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음악교과 창작수업 지도방안 연구
- 문학적 내러티브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
- 중학교 체육과 과정중심평가의 운영 경험
- 온라인수업을 위한 고교 진로선택과목 ‘공학 일반’ 콘텐츠 개발 연구
- 음악을 접목한 STEM (M⋅STEM) 수업모형 개발
- COVID-19에 따른 대학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및 경험 분석
- 지리적 인과관계의 문제 해결 과정에 나타난 지리적 사고의 성격
- 플립러닝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수업의 효과 및 의미탐색
- 도덕적 상상력에 기초한 도덕과 통일교육 내용 적용 연구
- 교사의 인성교육 전문성 측정 도구 개발
- 통일교육의 또 다른 시선
- 잠재프로파일을 활용한 중학생의 수학 학습동기 유형 분석 및 영향요인 탐색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
- 초등 영어교과 신설에 영향을 미친 미디어 담론 분석
- 자유학년제 도덕수업 프로그램 연구
- 소규모 초등학교의 학생 중심 문화예술교육 운영사례 연구
- 정의지향적 관점에 비추어 본 민주시민교육 교과서 분석
- 학교폭력 피⋅가해 학생 대처 방안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