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terpretion of Transition between Explosive and Effusive Eruptions from Microlite Textural Analyses in the Albong Lava Dome, Ulleung Island, Kore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황상구(Sang Koo Hwang) 김기범(Ki Beom Kim) 손영우(Young Woo Son) 현혜원(Hye Weon Hyeon)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3권 5호, 553~56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울릉도에서 폭발성 및 분류성 분출 간의 전환은 돔형성 분출을 나타내는 나리분석층과 알봉조면안산암(용암돔)에서 관찰되며, 유동성 마그마, 상승률 및 탈기작용과 같은 요인과 연관된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해석은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분출과정에서의 거동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금까지 해결되지 않았다. 이 논문은 나리 칼데라에서 알봉 용암돔 형성과정에서 인지되는 폭발성 및 분류성 분출에 초점을 두었다. 시료는 분석층과 용암돔에서 시간에 따라 채취하였으며, 분출 단계 및 활동 양식과 연계되어 있다. 이 시료들에서 석기 장석미정의 조직은 면적 개수밀도, 평균 미정크기, 결정 종횡비, 석기 결정률 등을 포함하며 정량적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미정의 조직은 천부에서 분출전 및 분출동시 마그마 과정이 분출 동안 거동변화를 제어하면서 진행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폭발성 및 분류성 분출 간의 전환은 주로 화도 내 마그마 상승의 역학관계에 의해 일어났으며, 탈기작용과 결정작용이 피드백 메카니즘을 통해 일어남으로서 분류성 및 폭발성 분출의 한 윤회를 초래했다.
영문 초록
Transition between explosive and effusive eruption in Ulleung Island is observed in the Nari Scoria Deposits and Albong Trachyandesite (lava dome) origined by dome-building eruption and may be related to factors such as magma influx, ascent rate and degassing.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them has not been resolved yet because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factors is not complex but also the resulting behaviour during eruption is unpredictable. This paper focuses on the explosive and effusive activity perceived during building the Albong lava dome in Nari caldera. Samples were collected along with time from the scoria deposits and lava dome, linked to eruption stage and style of activity. Textures of groundmass feldspar microlites from these samples are quantitatively analyzed, including measurements of areal number density, mean microlite size, crystal aspect ratio, groundmass crystallinity and crystal size. The microlite textures show that shallow pre- and syn-eruptive magmatic processes acted to govern the changing behaviour during the eruption. Transition between explosive and effusive eruption was driven by the dynamics of magma ascent in the conduit, with degassing and crystallisation acting via feedback mechanisms, resulting in a cycle of effusive and explosive eruption.
목차
1. 서 언
2. 울릉도 층서와 칼데라 지질
3. 시료채취 및 방법
4. 조직분석의 결과
5. 토 론
6. 결 론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플럭스미터와 단공희석시험을 이용한 카르스트 대수층 내 지하수 플럭스 측정 비교
- 디지털 트윈, 환경 모니터링 등 디지털·그린 뉴딜 정책 관련 지질자원 유망기술·시장 분석
- Large-scale, Miocene Mud Intrusion into the Overlying Pleistocene Coastal Sediment, Pohang City, SE Korea: Deformation Mechanism, Trigger, and Paleo-seismological Implication for the 2017 Pohang Earthquakes
- 폐금속광산 중금속오염토양에서 억새를 이용한 식물안정화공법을 위한 토양개량제 선정
- Revised Geology of the Deokjeok and Soya Islands in the Central-western Korean Peninsula
- 국내 대수층 유형 분류를 통한 지하수위와 수질의 특성화
- 한반도 남동부 포항-울산지역 심부 지질구조 분석을 위한 중력장 해석
- 질산으로 표면처리한 대나무 활성탄을 첨가한 폴리술폰 담체의 세슘제거효율 규명
- 울릉도 알봉 용암돔의 미정 조직분석으로부터 폭발성 및 분류성 분출 간의 전환 해석
- 황해 및 동중국해 북부의 중광물 특성과 기원
- 국내 현생 심성암류의 방사성 물질의 농도 및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3호 목차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안 설계 풍속 추정: 마라도 지역 사례 연구
- 어류 생태 및 수리 특성 기반의 최적 서식환경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 설치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