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Emerging Geo-technologies and Markets Focusing on Digital Twin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in Response to Digital and Green New Deal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안은영(Eun-Young Ahn) 이재욱(Jaewook Lee) 배준희(Junhee Bae) 김정민(Jung-Min Kim)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3권 5호, 609~61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4차 산업혁명(industry 4.0)으로 제시되는 지능정보사회 전환 정책 이후, 정부는 2020년 한국형 뉴딜 정책으로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정책을 발표하였다. 본 연구는 해당 정책을 분석하고 지질자원 분야 공공연구기관의 정부출연 R&D사업을 분석하였다. 해당 사업 중에서 유망기술 분야로 디지털 트윈, 환경 모니터링에 주목하여 유망기술·시장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데이터댐’과 관련하여 지질자원 기술 분야에서는 실감기술(AR/VR)을 적용한 디지털 지질자원 콘텐츠 개발, 공공데이터 구축·공유 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다. ‘1, 2, 3차 전산업으로 5G, AI 융합 확산’에 대응하여 스마트 마이닝, 디지털 오일 필드 등 ICT와 융합한 지질자원기술의 산업적용이 필요하다. ‘디지털 트윈’과 관련하여 정부는 도심지 등 주요지역 3D 지도 구축을 제시하고 있다. 지질자원 기술 분야에서는 안전한 국토/시설 관리를 위한 3차원 지도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다. 그린 뉴딜 정책으로 정부는 자원순환을 포함한 녹색산업 기술개발, CCUS 통합실증, 전기차·수소차 보급 확대를 제시하였으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관련 연구사업 수행 및 국내 에너지 저장광물 개발 연구를 착수했다. 디지털 트윈 관련하여 논문 및 국제 시장분석기관에서 석유가스분야를 제시하고 있으며 광산자동화, 디지털 지도 측면에서도 많은 진전이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 트윈어스(Digital Twin Earth) 구축 또한 지질자원 분야의 유망 기술 분야이다. 디지털 트윈, 환경 모니터링 관련 지질자원 연구 분야는 데이터 분석, 시뮬레이션, 인공지능·기계학습, 사물인터넷(IoT)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관련 센서 및 컴퓨팅 소프트웨어/시스템 등 민간 회사와의 협업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After introducing the industry 4.0 policy, Korean government announced ‘Digital New Deal’ and ‘Green New Deal’ as ‘Korean New Deal’ in 2020. We analyzed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s research projects related to that policy and conducted markets analysis focused on Digital Twin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technologies. Regarding ’Data Dam’ policy, we suggested the digital geo-contents with Augmented Reality (AR) & Virtual Reality (VR) and the public geo-data collection & shar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support the smart mining and digital oil fields research for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5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nvergence into all industries’ policy. Korean government is suggesting downtown 3D maps for ‘Digital Twin’ policy. KIGAM can provide 3D geological maps and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s for social overhead capital (SOC) management. ‘Green New Deal’ proposed developing technologies for green industries including resource circulation,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CCUS), and electric & hydrogen vehicles. KIGAM has carried out related research projects and currently conducts research on domestic energy storage minerals. Oil and gas industries are presented as representative applications of digital twin. Many progress is made in mining automation and digital mapping and Digital Twin Earth (DTE) is a emerging research subject. The emerging research subjects are deeply related to data analysis, simulation, AI, and the IoT, therefore KIGAM should collaborate with sensors and computing software & system companies.
목차
1. 서 론
2.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정책
3. 디지털 트윈, 환경 모니터링 지질자원 연구 관련 기술·시장 분석
4. 결론 및 시사점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플럭스미터와 단공희석시험을 이용한 카르스트 대수층 내 지하수 플럭스 측정 비교
- 디지털 트윈, 환경 모니터링 등 디지털·그린 뉴딜 정책 관련 지질자원 유망기술·시장 분석
- Large-scale, Miocene Mud Intrusion into the Overlying Pleistocene Coastal Sediment, Pohang City, SE Korea: Deformation Mechanism, Trigger, and Paleo-seismological Implication for the 2017 Pohang Earthquakes
- 폐금속광산 중금속오염토양에서 억새를 이용한 식물안정화공법을 위한 토양개량제 선정
- Revised Geology of the Deokjeok and Soya Islands in the Central-western Korean Peninsula
- 국내 대수층 유형 분류를 통한 지하수위와 수질의 특성화
- 한반도 남동부 포항-울산지역 심부 지질구조 분석을 위한 중력장 해석
- 질산으로 표면처리한 대나무 활성탄을 첨가한 폴리술폰 담체의 세슘제거효율 규명
- 울릉도 알봉 용암돔의 미정 조직분석으로부터 폭발성 및 분류성 분출 간의 전환 해석
- 황해 및 동중국해 북부의 중광물 특성과 기원
- 국내 현생 심성암류의 방사성 물질의 농도 및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3호 목차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안 설계 풍속 추정: 마라도 지역 사례 연구
- 어류 생태 및 수리 특성 기반의 최적 서식환경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 설치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