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zation of Groundwater Level and Water Quality by Classification of Aquifer Types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이재민(Jae Min Lee) 고경석(Kyung-Seok Ko) 우남칠(Nam C. Woo)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3권 5호, 619~62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가지하수관측망은 지하수 장해 예방과 지하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유역별로 암반 대수층 또는 충적과 암반 대수층 모두에 설치·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지질학적 유형인 자유면과 피압 대수층으로 재분류하여 국내 지하수의 수위와 수질 특성을 재평가하고, 모니터링 자료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충적-암반 쌍으로 구성된 관측소에서 산출된 지하수위 관측자료의 주성분 분석(PCA) 결과, 충적-암반 대수층의 수위변동 주성분은 유사한 변동 패턴을 보였다. 강수량에 따른 수위 상승율과 질산성질소 농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수리지질학적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 자유면 대수층과 피압 대수층의 지하수위 변동 주성분이 서로 다른 특성을 보였다. 강수에 대한 지하수위 반응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수위 상승률은 자유면 대수층과 피압 대수층에서 각각 4.6 (R2=0.8)과 2.1 (R2=0.4)로 산정되어 피압 대수층에서는 강수 함양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피압 대수층으로 분류된 관정들에서는 질산성질소 평균 농도가 3 mg/L 이하로,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자연배경농도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국가지하수관측망의 대수층을 수리지질학적 유형으로 재분류했을 때, 수위변동 패턴과 질산성 질소 농도 분포에서 유형별 차이가 구분되어 대수층 유형 분류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상태는 함양량 평가에 따른 지하수자원의 양적 관리와 잠재오염원으로부터의 수질 관리에 필요한 핵심정보를 제공함으로 지하수자원 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NGMN) in South Korea has been implemented in alluvial/ bedrock aquifer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In this study, aquifer types were reclassified with unconfined and confined aquifers based on water-level fluctuation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f water-level data from paired monitoring wells of alluvial/bedrock aquifers results in the principal components of both aquifers showing similar water-level fluctuation patter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water-level rises responding to precipitations and in the NO3-N concentrations between the alluvial and bedrock aquifers. In contrast, in the results classified with the hydrogeological type, the principal components of water level were different between unconfined and confined conditions. The water-level rises to precipitation events were estimated to be 4.6 (R2=0.8) in the unconfined and 2.1 (R2=0.4) in the confined aquifers, respectively, indicating less impact of precipitation recharge to the confined aquifer. The confined aquifers have the average NO3-N concentration below 3 mg/L, implying the natural background level protected from the sources at surface. In summary, reclassification of aquifers into hydrogeological types clearly shows the differences between unconfined and confined aquifers in the water-level fluctuation pattern and NO3-N concentrations. The hydrogeologic condition of aquifer could improve groundwater resource management by providing critical information on groundwater quantity through recharge estimation and quality for protection from potential contamination sources.
목차
1. 서 론
2. 연구자료 및 연구방법
3. 결과 및 토의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플럭스미터와 단공희석시험을 이용한 카르스트 대수층 내 지하수 플럭스 측정 비교
- 디지털 트윈, 환경 모니터링 등 디지털·그린 뉴딜 정책 관련 지질자원 유망기술·시장 분석
- Large-scale, Miocene Mud Intrusion into the Overlying Pleistocene Coastal Sediment, Pohang City, SE Korea: Deformation Mechanism, Trigger, and Paleo-seismological Implication for the 2017 Pohang Earthquakes
- 폐금속광산 중금속오염토양에서 억새를 이용한 식물안정화공법을 위한 토양개량제 선정
- Revised Geology of the Deokjeok and Soya Islands in the Central-western Korean Peninsula
- 국내 대수층 유형 분류를 통한 지하수위와 수질의 특성화
- 한반도 남동부 포항-울산지역 심부 지질구조 분석을 위한 중력장 해석
- 질산으로 표면처리한 대나무 활성탄을 첨가한 폴리술폰 담체의 세슘제거효율 규명
- 울릉도 알봉 용암돔의 미정 조직분석으로부터 폭발성 및 분류성 분출 간의 전환 해석
- 황해 및 동중국해 북부의 중광물 특성과 기원
- 국내 현생 심성암류의 방사성 물질의 농도 및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3호 목차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안 설계 풍속 추정: 마라도 지역 사례 연구
- 어류 생태 및 수리 특성 기반의 최적 서식환경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 설치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