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centration of Radioactive Materials for the Phanerozoic Plutonic Rocks in Korea and Its Implication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김성원(Sung Won Kim)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3권 5호, 565~58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생활용품 및 건축자재 등에서 검출된 자연 방사성 물질로 인해 사회적으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조속히 해결해야 될 사회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토양이나 지하수 내 중금속 및 우라늄, 라돈 등의 자연방사성 물질에 대해서 환경부에 의해 지난 20년 이상 장기간 조사된 바 있고, 토양과 지하수 내 자연방사성 물질의 기원이 암석-성인-변형적 특성 등의 지질학적 요인들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기반암, 기반암 상부토양 및 지하수가 발달한 단층계 내 자연방사성 물질의 국가배경농도가 수립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지질학적 상관관계 규명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현생 심성암류의 성인과 천연 방사성(라돈, 우라늄, 토륨 등)물질 농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예비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생 심성암류 중 알칼리 화강암류(섬장암, 몬조니암, 몬조섬록암 및 알칼리화강암)는 높은 마그마 온도와 고알칼리성의 경향 때문에 U, Th, Zr, REE 및 Nb 등이 부화되는 특징을 보여주어 높은 U과 Th 농도를 가진다. 지각물질의 혼합에 의해 고분화된 화강암류(우백질 화강암, 복운모화강암, 고알루미형질 S-type 화강암 및 페그마타이트)는 고분화되지 않은 일반 화강암류(섬록암, 화강섬록암 및 화강암)보다 U, Th 및 K+Na이 더욱 부화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고알칼리성 화강암류들은 주로 판내부의 열개환경, 대륙충돌 조산작용과 해양판의 대륙판 아래 섭입 이후에 일어나는 확장환경에서 생성된다. 반면에 우리나라에서 주로 산출되는 아알칼리성 캘크알칼리 화강암류는 해양판의 대륙판 밑으로의 섭입에 의한 호환경에서 주로 생성된다. 결과적으로 국내 현생 심성암류의 U, Th 및 K 함량변화는 지구조 환경에 의한 암석성인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며, 현생화강암류 대한 감마분석 자연방사성 핵종(226Ra, 232Th 및 40K) 예비 결과들은 고알칼리성과 고분화된 화강암류에서 높은 값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various social issues related to the natural radioactive elements detected in household goods and building materials are addressed, and should be solved promptly. In Korea, for more than 20 year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investigated the natural radioactive materials such as heavy metals, uranium, and radon in soil or groundwater. The origins of natural radioactive materials in them may have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geological factors including classification of rocks, petrogenetic origins,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but the exact geological correlations are not clarified because of the absence of the government policy preserved in the basement rocks, soils as well as groundwater in fault-related reservoirs. This study aims to perform a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trogeneses of the Phanerozoic plutonic rocks and natural radioactive concentrations in rocks (radon, uranium, thorium, potassium etc.) in Korea. Among the Phanerozoic plutonic rocks, alkaline plutonic rocks (syenite, monzonite and monzodiorite and alkali granite) show high U and Th concentrations by high solubilities of U, Th, Zr, REE, and Nb until the most extreme stages of magmatic fractionation (viz. crystal fractionation) due to high magma temperature and high alkalinity tendency. The highly fractionated high-K calalkaline and peraluminous granitic rocks (leucogranite, two-mica granite and leucocratic pegmatite are also U and Th concentrations compared with other less or medium fractionated granitic rocks (diorite, granodiorite and granite). The alkaline plutonic rocks are associated with intracontinental rifting and extensional environment after crustal thickening by collisional and subductional processes. In contrast, the dominant calc-alkaline granitic rocks in Korea are related to the arc environment of the subduction zone. In summary, the trends of the U, Th and K concentration from the Phanerozoic plutonic rocks in Korea are closely linked to the petrogenesis of the rocks in tectonic environment. The preliminary data for gamma-spectrometric mesurments of natural radionuclide contents (226Ra, 232Th and 40K) in the Phanerozoic plutonic rocks show high values in the alkaline and highly fractionated granitic rocks.
목차
1. 서 론
2. 지질 개요
3. 현생 심성암류의 암석분류 및 성인
4. 현생 심성암류 내 우라늄 및 토륨 분포함량
5. 현생 심성암류 자연방사능 핵종 방사능 농도
6. 국내 현생 심성암류의 성인에 따른 방사성 물질 농도 추적 및 토의
7. 결 론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플럭스미터와 단공희석시험을 이용한 카르스트 대수층 내 지하수 플럭스 측정 비교
- 디지털 트윈, 환경 모니터링 등 디지털·그린 뉴딜 정책 관련 지질자원 유망기술·시장 분석
- Large-scale, Miocene Mud Intrusion into the Overlying Pleistocene Coastal Sediment, Pohang City, SE Korea: Deformation Mechanism, Trigger, and Paleo-seismological Implication for the 2017 Pohang Earthquakes
- 폐금속광산 중금속오염토양에서 억새를 이용한 식물안정화공법을 위한 토양개량제 선정
- Revised Geology of the Deokjeok and Soya Islands in the Central-western Korean Peninsula
- 국내 대수층 유형 분류를 통한 지하수위와 수질의 특성화
- 한반도 남동부 포항-울산지역 심부 지질구조 분석을 위한 중력장 해석
- 질산으로 표면처리한 대나무 활성탄을 첨가한 폴리술폰 담체의 세슘제거효율 규명
- 울릉도 알봉 용암돔의 미정 조직분석으로부터 폭발성 및 분류성 분출 간의 전환 해석
- 황해 및 동중국해 북부의 중광물 특성과 기원
- 국내 현생 심성암류의 방사성 물질의 농도 및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3호 목차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안 설계 풍속 추정: 마라도 지역 사례 연구
- 어류 생태 및 수리 특성 기반의 최적 서식환경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 설치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