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융합적 상담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491

영문명
Convergent Counseling Program to Prevent School Violence Qualitative Research on Effectiveness Safety Culture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곽동현(Kwak Dong Hyun)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호, 1~1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교폭력이나 청소년범죄는 물론 정서적인 불안과 학습부진은 결코 아동의 문제가 아니다.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삶에 대한 동기가 부여될 수 있도록 충분한 정서적인 상담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러한 상담프로그램은 다양한 영역의 체험을 통해 아동 스스로 자기이해와 본인의 숨겨진 재능과 흥미를 발견하고, 인생의 구체적 꿈과 목표를 설계할 수 있는 능동적 인간형으로 계발하게 한다. 여기에 융합적인 상담프로그램은 학교 밖 청소년들의 학교폭력과 청소년범죄 등의 예방을 위한 관리의 사각지대가 없도록 많은 전문기관과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음에도 이러한 사건과 사고들이 증가되거나 더욱 심해지는 것을 직시하여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에서도 학교의 안전과 학교 밖의 안전까지도 예방하는 사업을 도모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가진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필요에 따른 안전문화정착의 근간을 이루는 아동과 청소년교육의 필요성과 ‘학교폭력, 언어와 사이버폭력, 물리적 폭력, 집단따돌림 및 성폭력예방 및 대처방법’에 대한 융합적 상담프로그램의 사례에서 효과성을 제안하고 프로그램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 필요성을 갖게 함은 물론 상담전문가들이 좀 더 융합적인 다양한 접근방법을 인지하고 훈련하여 안전문화정착과 학교폭력에 관한 예방과 치료의 통합적인 기술을 갖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just the child s problem, school violence or juvenile crime, as well as emotional anxiety and poor learning. It is necessary to have sufficient emotional counseling program to motivate the life in the psychological aspect and to discover the self-understanding and the hidden talents and interests of the self through the experience of various areas and to design the concrete dreams and goals of life We develop into active human form that can do. In addition, the convergent counseling program is aimed at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juvenile crime by preventing the blindness of management, In the Safety Culture Forum, the necessity of the project to prevent the safety of the school and the safety outside the school is needed. Therefore,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th, which is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afety culture, and the need for school violence, language and cyber violence, And counseling methods for prevention and coping with sexual violence. In addition to providing effective counseling an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program, counseling specialists are aware of various approaches that are more convergent, Integrated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ultural settlement and school violence The party has the technology.

목차

1. 서론
2.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동현(Kwak Dong Hyun). (2018).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융합적 상담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안전문화연구, (3), 1-13

MLA

곽동현(Kwak Dong Hyun).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융합적 상담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안전문화연구, .3(2018): 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