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IR Principles: Considerations for Implementing Digital Archives from a Data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기록관리학회
- 저자명
- 김학래(Hakla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21권 제2호, 155~17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지털 아카이브는 디지털 자원을 보존하고 지속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자화된 저장소이다. 디지털 아카이브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다양한 도메인의 디지털 자원을 기록하기 위한 아카이브가 구축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아카이브의 자원은 디지털화라는 본래의 목적은 만족할 수 있지만, 자원의 검색과 재사용에 있어 여전히 제한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FAIR 데이터 원칙을 자세히 살펴보고, 디지털 아카이브에 적용하기 위한 성숙도 평가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FAIR 데이터원칙은 디지털 자원을 기계가 읽고 처리할 수 있게 만드는 일련의 지침으로 웹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 FAIR 데이터 원칙의 평가 모델은 계획 수립과 적용 단계를 구분해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 원칙의 적용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이 모호하고, 디지털 아카이브 분야를 위한 평가 기준에 대한 논의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아카이브에 FAIR 데이터 원칙을 적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향후 적용을 위한 이슈를 논의한다.
영문 초록
Digital archives are electronic storages used to preserve and utilize digital resources sustainably. Theoretical research on digital archives is being conducted actively, and digital archives for recording various resources in heterogeneous domains are being built and serviced. However, although the original purpose of digitizing the resources of digital archives is achievable, the discovery and reuse are still limited. This study examines the Findable, Accessible, Interoperable, and Reusable (FAIR) data principles in detail and proposes a maturity assessment framework for digital archives. The FAIR Data Principles is a set of guidelines that enable machines to read and understand digital resources that are applied to any online resource. The evaluation model of the FAIR data principle defines the planning and application stages separately. However, criteria for evaluating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principles are still ambiguous, and discussions on evaluation criteria for the field of digital archive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proposes a framework for applying the FAIR data principle to digital archives and discusses issues for future application.
목차
1. 서 론
2. 관련 연구
3. FAIR 원칙
4. FAIR 원칙의 요소
5. FAIR 데이터 성숙 모델
6. 디지털 아카이브를 위한 고려사항
7.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외 기업의 레코드 매니저 채용을 위한 직무 기술에 나타난 업무영역 연구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아카이브 구축 사례
-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조사연구 및 아카이브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NGO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공공도서관의 구술기록물 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기록관리 전문요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재난백서 구축을 위한 온라인 기록물 활용 방안
- 국가기록원 서포터즈(나라기록넷띠) 활동 및 운영 분석
- 디지털 환경에서 기록물 맥락 기술을 위한 Records in Contexts-Ontology(RiC-O) 적용 연구
- 국립대학 기록물 분류체계의 운영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FAIR 원칙 : 데이터 관점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고려사항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