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비설화 속 장애인의 전가치화와 인문학적 가치 성찰
이용수 112
- 영문명
- Observation on value conversion of Disabled in Folktales and its literary value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저자명
- 권경숙(Kwon, Kyoung-Sook)
- 간행물 정보
-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51집, 45~6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구비설화 가운데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각편에서 장애인의 가치가 전가치화되는 것을 문제 삼았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인문학적 가치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설화의 심층에는 사회적 약자, 소수자 등과 같은 인문학적 가치와 연관되는 중요한 개념어들이 내재 되어 있었다. 그 속에 내면화되어 있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성격과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장애인을 바라보는 설화 구연자의 시선에 중점을 두었다. 논의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구비설화 속 장애인의 전가치화와 인문학적 가치 성찰>에서 설화 속 장애인 인물에 대한 배타적인 시선과 반성적인 시선을 동시에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배타적인 시선에서는 장애인을 ‘우리’가 아닌 ‘남’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신체적 기능장애를 웃음의 기저로 삼았고, 반성적인 시선에서는 그들의 지혜나 능력이 뛰어남을 기저로 삼았다. 따라서 구비설화 속 장애인이야기는 ‘우리 안의 이방인’이 되기도 하지만 ‘남에서 우리로’ 함께 하려는 의미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value of the disabled being fully valued in each episode that targets the disabled among the stor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discussion is to focus on reflection on humanistic values. In the depth of this narrative, important concepts related to humanistic values such as the socially disadvantaged, minority were embedded. While critically examining the nature and content of the internalized perception of the disabled, it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narrator looking at the disabled. The discussion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In < Observation on value conversion of Disabled in Folktales and its literary value>, it is obvious that the closed and reflective views of the disabled in the stories are reflected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because the disabled are perceived as the others rather than us in the closed view, physical dysfunction is used as the entry of laughter, and their wisdom or ability is excellent in the reflective view. Therefore, it was interpreted that the story of the disabled in the oral folktales becomes a stranger among us, but that they intend to be together from others to us. Thus, the story of the disabled was embedded with humanistic values that we can reflect on in depth in the modern society.
목차
1. 논의의 출발점과 방향
2. 장애인 인물을 통한 구연자의 시선
3. 사회적 약자로서의 장애인이야기 성찰
4. 논의의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문학분야 NEW
- 동남어문논집 제59집 목차
- 김애란 소설의 비장소성 연구: 인물의 비장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 경와(敬窩) 엄명섭(嚴命涉)의 『논어집주언해(論語集註諺解)』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