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대면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이용수 565
- 영문명
- Non-face-to-face writing class case study: Focused on peer feedback activities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저자명
- 이은진(Lee, Eun-Jin)
- 간행물 정보
-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51집, 89~11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2020-2학기 창원대의 글쓰기 수업 사례를 통해 비대면 글쓰기 수업에서 동료 피드백 활동의 역할과 가치를 살펴보았다. 우선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비대면 수업 진단 설문 결과를 분석하여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엿보았다. 학생들은 과중한 과제와 상호 소통 부재를 문제점으로 들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도 대면 수업과 같이 쌍방향 소통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글쓰기 수업은 학습 무기력과 과제 부담을 덜어줄 협력 활동 제시, 동료 피드백 활동을 통한 능동적인 태도 함양, 그리고 상호 소통과 협력에 의한 글쓰기 효능감 향상을 수업 운영의 기본 방향으로 삼았다. 이런 기본 방향에 따라 학생들은 동료들과의 소통에 초점을 두고 글쓰기 전 과정에서 동료 피드백을 진행하였다. 먼저 내용 생성과 조직 단계에서의 구조화 과정을 상호 첨삭활동으로 진행하였다. 집필하기와 고쳐 쓰기 단계에서는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쌍방향 댓글 달기를 진행하고 모둠별 온라인 합평하기로 논의를 확대하였다. 이렇게 비대면 글쓰기 수업 전 과정에서 동료 피드백 활동은 수업 운영의 주요한 방식으로 활용되었으며 학습자의 글쓰기 역량과 효능감에도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role and value of peer feedback activities in non-face-to-face writing classes through the case of writing classes at Changwon University in the 2020-2 semester. First of all,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non-face-to-face class diagnosis questionnaire conducted for students, students perception of the non-face-to-face class was examined. Students cited many tasks and lack of communication as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wo-way communication must be actively conducted as in face-to-face class even in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s. Therefore, the basic direction of the class management was to suggest cooperative activities to relieve the burden of learning helplessness and task, to cultivate active attitudes through peer feedback activities, and to improve the writing efficacy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Following this basic direction, students focused on communication with peers and provided peer feedback throughout the writing process. First, the structuring process at the content creation and content organization stage was carried out as mutual correction activities. In the writing and rewriting phases, interactive commenting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platform, and discussions were expanded to co-operate online for each group. In this way, in the entire course of non-face-to-face writing, peer feedback was used as a major method of class management, and it affected the learner s writing competencies and sense of efficacy.
목차
1. 서론
2. 비대면 수업 진단과 수업 설계
3. 동료 피드백 수업 사례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문학분야 NEW
- 동남어문논집 제59집 목차
- 김애란 소설의 비장소성 연구: 인물의 비장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 경와(敬窩) 엄명섭(嚴命涉)의 『논어집주언해(論語集註諺解)』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