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2주간의 코어 안정화 운동이 태권도 품새 선수들의 체력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5
- 영문명
- Effects of 12 Weeks Core Stability Training on Physical Fitness and Stability in Taekwondo Poomsae Players
- 발행기관
- 대한운동학회
- 저자명
- 양대승(Yang, Dae-Seung)
- 간행물 정보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제16권 제3호, 59~6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코어 안정화 운동에 참여한 품새 선수와 비 참여 품새 선수의 체력, 안정성을 비교·분석하여 코어 안정화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G대학교 품새 선수 19명을 무선할당(random sampling)을 통해 운동군 9명과 대조군 10명으로 분류한 후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민첩성, 안정성을 사전·사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의 하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치와 이원반복변량분석(two-way repeated ANOVA)을, 사후검증은 paired t-test와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1)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민첩성에서 상호작용효과(p=.001)가 있었으며, 사후검증 결과 운동군에서 코어 안정화 운동 후 근력․근지구력․유연성(p=.001), 민첩성(p=.008)에서, 그룹 간에도 근력(p=.005); 근지구력(p=.028), 유연성(p=.001), 민첩성 (p=.00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양발 전체의 안정성에서 상호작용효과(p=.037)가 있었으며, 시기에 따른 사후검증 결과 운동군에서 코어 안정화 운동 후 양발 전체(p=.037), 양발 전․후(p=.049)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코어 안정화 운동에 참여한 운동군에서 체력의 하위요인인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민첩성과 양발 전체의 안정성, 양발 전후의 안정성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코어 안정화 운동을 통해 품새 선수들의 코어근육이 강화되었음을 의미하며, 품새 시연 시 신체의 중심축을 활용한 절도 있는 동작의 구현과 동작간의 연결과정에서 안정적인 자세 유지 그리고 균형조절 능력을 증진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physical fitness and stability of poomsae players and non-players who participated the core stability training an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core stability training. [METHOD] Nineteen Taekwnodo poomsae players were recruited using random sampling from G university in kyung-gi provinc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ercise group, n=9, control group, n=10) and measured pre - post tests of muscular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gility and stability. The date were analyzed utilizing two-way repeated ANOVA,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 1)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p=.001) among muscular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agility. From the results of post-hoc te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muscular strength, muscle endurance, and flexibility (p=.001), and agility (p=.008) after the core stability training in exercise group.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relationships in muscular strength (p=.005), muscle endurance (p=.028), flexibility (p=.001), agility (p=.008) between groups. 2)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p=.037) in both feet overall stability index. From the post-hoc test of timing,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both feet overall and both feet anterior and posterior (p=.049) after the core stability training in exercise group. [CONCLUSION]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muscular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gility, both feet overall stability, and both feet anterior and posterior stability in exercise group attended core stability training.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omsae players core muscle were strengthened through the core stability training. Also, it is believed that the core stability training would increase capabilities of balance control and stable posture in the trial of clear movement using central axis of body and a process of connecting movements during the poomsae demonstration.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운동학의 개념과 구조에 대한 재검토 및 운동전문인 교육의 방향 탐색
-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과 일반 학생간의 태아기 성호르몬 노출의 추정 징후 비교
- 12주간의 코어 안정화 운동이 태권도 품새 선수들의 체력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테니스화 착화 시 인지적 편안함과 관련된 운동역학적 변인 분석
- 축구 참여자가 인식한 바둑의 전이 효과 탐색
- 운동발달 평가도구의 고찰과 현장적용 사례
- 국내 아마추어 축구심판의 근골격계 통증 - 대표 조사
- 10주간의 복합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및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 신체활동 유형과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음주행동과 음주거절효능감
- 요통을 동반한 비만노인의 요부복합운동이 혈중지질과 혈관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여성의 최대하 운동 대사반응과 신체변인을 이용한 최대산소섭취량 추정 모형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20대 경계성 및 본태성고혈압 남성의 운동 중 혈류역학 반응
- 여성 축구선수의 하지정렬구조와 하지손상 유형 분석
- 수중보행 시 수심에 따른 편마비환자의 보행형태 분석
- 운동자원동원성 개념구조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 재활운동에 따른 회전근개복원술을 받은 노인환자의 어깨관절가동범위와 어깨통증 및 심리상태의 변화
- 아마추어 골프참여자의 자기관리와 회복탄력성 및 스포츠행복의 구조적 관계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Periodising Cold Water Immersion in Team Sports: Maximising Recovery and Adaptation
- Physical Activity Vol. 3 No. 1 Table of Contents
- Role of Biological Sex in the Onset of Muscle Atrop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