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체활동 유형과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음주행동과 음주거절효능감
이용수 41
- 영문명
-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Type and Gender on Binge Drinking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 발행기관
- 대한운동학회
- 저자명
- 오화정(Oh, Hwajung) 김영호(Kim, Young-Ho)
- 간행물 정보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제16권 제3호, 69~7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신체활동 유형과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폭음 행동과 음주거절효능감의 차이를 밝히는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신입생 354명(191남학생)을 대상으로 신체활동참여, 음주거절효능감, 폭음 행동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신체활동 유형을 비 참여, 팀 스포츠, 개인 스포츠로 구분하고, 성별과 신체활동 유형에 따른 폭음 행동과 음주거절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남학생이 폭음하는 날이 가장 많고 정서적 해소 상황에서의 음주거절효능감이 가장 높았으며, 팀 스포츠에 참여하는 남학생은 개인 스포츠에 참여하는 학생보다 폭음하는 날이 많았다. 그러나 폭음행동과 음주거절효능감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대학생들은 참여하는 학생들에 비해서 폭음 행동에 많이 노출되며, 특히 정서적 해소와 관련된 음주 상황에서 낮은 음주거절효능감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신체활동 유형이 폭음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binge drinking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differ by physical activity type(team, individual sport and non physical activity) and gender. [METHOD] For this study, a total of 354 university students(191male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assess physical activity type, binge drinking,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DRSE).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wo-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0.0. [RESULT] Two-way ANOVA reveal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physical activity type and gender on binge drinking and emotional relief DRSE and main effect of physical activity type.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had the highest binge drinking and the least emotional relief DRSE. Male students participating in team sport reported more binge drinking than those in individual sport, but female binge drinking was consistent across physical activity typ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articipants in physical activity appear to do less binge drinking and more DRSE in emotional relief situation.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physical activity type and gender differences on binge drinking and DRSE. The findings add to our understanding of how sport impacts on drink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to avoid drinking.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운동학의 개념과 구조에 대한 재검토 및 운동전문인 교육의 방향 탐색
-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과 일반 학생간의 태아기 성호르몬 노출의 추정 징후 비교
- 12주간의 코어 안정화 운동이 태권도 품새 선수들의 체력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테니스화 착화 시 인지적 편안함과 관련된 운동역학적 변인 분석
- 축구 참여자가 인식한 바둑의 전이 효과 탐색
- 운동발달 평가도구의 고찰과 현장적용 사례
- 국내 아마추어 축구심판의 근골격계 통증 - 대표 조사
- 10주간의 복합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및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 신체활동 유형과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음주행동과 음주거절효능감
- 요통을 동반한 비만노인의 요부복합운동이 혈중지질과 혈관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여성의 최대하 운동 대사반응과 신체변인을 이용한 최대산소섭취량 추정 모형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20대 경계성 및 본태성고혈압 남성의 운동 중 혈류역학 반응
- 여성 축구선수의 하지정렬구조와 하지손상 유형 분석
- 수중보행 시 수심에 따른 편마비환자의 보행형태 분석
- 운동자원동원성 개념구조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 재활운동에 따른 회전근개복원술을 받은 노인환자의 어깨관절가동범위와 어깨통증 및 심리상태의 변화
- 아마추어 골프참여자의 자기관리와 회복탄력성 및 스포츠행복의 구조적 관계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Periodising Cold Water Immersion in Team Sports: Maximising Recovery and Adaptation
- Physical Activity Vol. 3 No. 1 Table of Contents
- Role of Biological Sex in the Onset of Muscle Atrop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