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Indoor Temperature and CO₂ Level on Subjective Response and Work Performanc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황진아(Hwang, Jin A) 최윤정(Choi, Yoon Jung)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25권 제1호, 35~5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 of indoor temperature and CO₂ level on occupants’ subjective response and work performance.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a controlled climate chamber. In the climate chamber, indoor temperature was controlled in three levels of 24℃, 26℃ and 28℃, and CO₂ concentration in two levels of low (under 1,000ppm) and high (over 1,000ppm). The levels were combined into six experimental conditions. Twelv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among volunteers. During each of 40-minute experiment sessions in the climate chamber, the subjects were ask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regarding subjective response and work performance.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preliminary experiment and the researcher based on existing studies. The questions on subjective response consisted of thermal sensation, evaluation on indoor temperature, humidity sensation and air quality sensation. The work performance questions included arrangement of syllable, arithmetic operation and figure match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utral point by thermal sensation was 26.9℃, and neutral point by evaluation on indoor temperature was 25.5℃. CO₂ level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bjects’ air quality sens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indoor temperature and CO₂ level on subjective responses. Second, the subjects tended to show the best work performance in arrangement of syllable and figure matching at 26℃ and in arithmetic operation at 24℃. Indoor temperature and work performanc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CO₂ level was found to have no influence on the subjects’ work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indoor temperature and CO₂ level on work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금융위기 이후 모기지론 채무조정 소비자문제와 소비자보호정책
- 유아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직업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실내온도와 CO₂농도가 주관적반응과 작업수행도에 미치는영향
- 중국소비자의 유료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이용의도
- 코로나-19 발발 전후 일부 고등학생의 식생활 변화
- 고령자의 자동측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면·측면에서의 인체 축 변화 분석
-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자율적 양육태도를 통해 유아기 자녀의 배려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기혼 근로자의 근로 및 사업체 특성, 과로인식이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수가루를 첨가한 쌀쿠키의 품질특성
- 맞춤의류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기술개발을 위한 맞춤업체 현황 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집밥의 인식 변화 연구: 코로나19를 중심으로
- 식품업체의 ESG 경영활동과 기업이미지 및 지속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 연구
- 얌빈 가루를 첨가한 연어스프레드의 품질특성: 혼합물 실험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