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Priority of Business Crime Prevention for Establishing Safe Public Toilets - Focusing on Public Offering Business Targeting Municipalities
- 발행기관
- 한국셉테드학회
- 저자명
- 송정화(Jeong-hwa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셉테드학회지』제11권 제3호, 189~22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부는 안심공중화장실을 만들기 위해 전국의 지자체를 대상으로 사업을 공모하여 진행하였다. 지자체별로 다양한 범죄예방사업이 제안되었으나 범죄로부터 안전한 공중화장실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사업내용부터 충족시킨 후 단계별로 사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심공중화장실 조성을 위해 범죄예방사업의 우선순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자체별로 범죄예방과 관련하여 이전에 추진하였던 내용들을 살펴본 후, 공중화장실에서 안전위해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내용과 시행하고자 하는 범죄예방사업 내용을 살펴보았다. 지자체에서 범죄예방을 위해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단계별로 사업의 우선순위를 제안하였다. 우선순위에 따라 사업을 진행하게 함으로써 전국적으로 균형있는 안심화장실을 만들어 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government has invited public participation of municipalities across the country, in order to build safe public toilets. Although each municipality offered a variety of businesses, the businesses should be implemented by steps, after business measures which are necessarily prepared are satisfied so that public toilets that are safe from crimes can be built. This study, therefore, intends to propose the priority by some measures of the safe public toilet business. To this end, it examined the measures perceived as hazardous factors in public toilets and the business measures for creating safe public toilets, by investigating the measures previously pursued by each municipality, in regard to crime prevention. On the basis of criterion which municipalities commonly recognize, for preventing crimes, this study proposed the priority of businesses by steps. Allowing the businesses to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riority may contribute to proportionally establishing safe toilets across the countr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공중화장실 안전위해요소와 사업계획
Ⅳ. 안심공중화장실 사업내용 특성과 우선순위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뮬레이션의 상황설정을 통한 멀티플렉스 실내영화관에서의 피난형태 분석연구
- 공중화장실 범죄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 안심공중화장실 조성을 위한 범죄예방사업의 우선순위 연구
- 유치원의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환경조사 지표 연구
- 침입범죄 방지를 위한 방범유리의 성능기준 제정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단지 커뮤니티시설의 배치유형화에 따른 CPTED 인증 평가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 범죄예방활동의 전이효과와 이익의 확산효과에 관한 연구
- 야간에 발생하는 성, 절도와 공간적 요소간의 상관관계 분석
- 공동주택 공적공간의 물리적 요소가 거주자 범죄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 공개공지 유형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셉테드학회 연구 경향의 실증적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