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stablishing Performance Standards for Burglary Prevention Glass
- 발행기관
- 한국셉테드학회
- 저자명
- 김효건(Hyo-Gun Kim) 박현호(Hyeon-Ho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셉테드학회지』제11권 제3호, 289~32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방범유리의 저항성을 검증하고 이를 표준화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에 따라 딱딱한 물체에 대한 충격은 “낙구 충격 시험”으로 온도조건이 추가된 딱딱한 물체와 날카로운 물체의 충격은 “내열성 충격 시험”으로 구분하여 방범유리 성능 평가항목을 선정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일반 단층유리들은 방범에 매우 취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소 1등급 이상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10T 이상의 강화유리를 사용하여야 되며, 그 이하의 제품으로는 방범역할을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반 접합유리의 경우 유리의 두께가 두꺼우면서 필름의 두께도 두꺼운 제품들은 대체적으로 높은 등급에 속하였으나 필름 두께가 너무 두꺼워 주거용 창이나 문에는 적합하지 못한 제품들이었다. 결론적으로 방범유리는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유리 자체의 강도도 중요하지만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필름 및 레진의 강도와 두께가 그 제품의 성능을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현재 국내 실정으로 볼 때, 앞에서 제시한 낙구 충격 시험과 내열성 충격 시험의 평가 방법 및 등급 설정은 범죄예방 목적 및 국내 유리 제품 현황들을 잘 반영하고 있어 적합한 시험법으로 판단되며, 추후 꾸준한 제품개발과 국내 여건 변화에 발맞추어 시험 방법 강화 및 등급 상향을 통해 지속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Whil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rime prevention hardware, there has been a relative lack of research on security and crime prevention glass. In order to establish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of security glass, the research reviewed domestic industry trends, technology development conditions, and current technology level in various ways based on CPTED analysis and international standards, and developed evaluation methods to enable evaluation of various applied products such as banks, expensive product retailers, and security buildings that require high performance as well as relatively low crime prevention functions. Th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method was conducted to verify and standardize the resistance of the security glass to external impacts. Accordingly, the impact of the rigid object was selected by dividing the impact of the rigid object and the sharp object with the temperature condition by the falling impact test into the heat-resistant impact test . Performance tests have shown that general fault glass is highly vulnerable to crime prevention. In order to perform at least 1st grade, a minimum of 10T of tempered glass must be used, and it is judged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crime prevention function for products below that. Also, in the case of general junction glass, products with thick glass and thick film thickness generally belonged to a higher grade, but the film thickness was too thick to fit for residential windows or doors. High-grade, thin-thick products are currently difficult to produce with domestic technology, and more research and development by production companies is needed. In conclusion, the strength of the glass itself is important to improve performance, bu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trength and thickness of the film and resin used additionally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Given the current domestic situation, the above-mentioned methods and grading of fall impact tests and heat-resistant impact tests are considered suitable test methods as they reflect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glass products and the purpose of crime prevention, and it is judged that they will be able to be appli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by strengthening test methods and upgrading grades in line with steady product development and changes in domestic conditions. The establishment of the certification system will lead to the activation of related research and the securing of the quality of the products, which will bring about the development and economic effects of related industries, contribute to the localization of products and technologies through the use of established standards, and actively respond to the growing demand for safety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of development technologies to secure global competitiveness.
목차
Ⅰ. 서 론
Ⅱ. 방범유리 하드웨어 표준화 현황
Ⅲ. 자료수집과 시험설계
Ⅳ. 시험 방법 및 결과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뮬레이션의 상황설정을 통한 멀티플렉스 실내영화관에서의 피난형태 분석연구
- 공중화장실 범죄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 안심공중화장실 조성을 위한 범죄예방사업의 우선순위 연구
- 유치원의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환경조사 지표 연구
- 침입범죄 방지를 위한 방범유리의 성능기준 제정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단지 커뮤니티시설의 배치유형화에 따른 CPTED 인증 평가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 범죄예방활동의 전이효과와 이익의 확산효과에 관한 연구
- 야간에 발생하는 성, 절도와 공간적 요소간의 상관관계 분석
- 공동주택 공적공간의 물리적 요소가 거주자 범죄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 공개공지 유형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셉테드학회 연구 경향의 실증적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