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법원연계형 조정의 운영과 시사점
이용수 3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민사소송법학회
- 저자명
- 함영주
- 간행물 정보
- 『민사소송』제14권 제2호, 149~192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1.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ourt-annexed mediation reform is being discussed by the Korea Supreme Court and some scholars in Korea. This idea originates from the analysis that Korea’s court-mediation[민사조정(民事調停) in Korean] is totally different kind of mediation in contrast with western country’s mediation. Many Korean scholars and judges says that Korea’s court mediation is actually modified kind of judgment[재정(裁定) in Korean]. Korea’s court judges are supervising the same civil case with a mediator and adjudicator successively. The same judge could be a mediator continuously after the judicial process changed into mediation. After the court mediation process finished, the same judge who supervised mediation as a mediator could adjudicate again the case with a judge. Many lawyers and legal professionals are suspicious about judge’s role in court-mediation and trial. These two roles and two processes are contradictory each other by its own characteristics. Korean judges are forced to finish his case into a mediation in a very short time by the judicial authorities. The rate of mediation is a very important requisites of judge’s performance assessment with a promotion standard. Due to this circumstances, judge’s mediation could be coercing to the parties and lawyers. According to this background, this paper has researched on court-annexed mediation in New York city. Eastern District of New York Federal court and New York county court were selected as a sample of American court-annexed mediation. Strict separation of mediator and judge’s roles are more precisely investigated and focused. The characteristics of confidentiality, impartiality, disqualification of mediators are also reviewed. This paper also introduced the important role of magistrate judges in the Eastern District of New York Federal court. This paper could be helpful to prepare for Korea’s general dispute resolution act and to make differentiated mediation process in contrast with Japan’s ADR promotion act.
목차
Ⅰ. 미국 ADR제도에 대한 사례연구의 필요성
Ⅱ. 미국 ADR의 발전과정 및 다양성
Ⅲ. 미국 뉴욕연방동부지방법원의 법원연 계형 조정(court-annexed mediation)
Ⅳ 뉴욕 주(New York State) 뉴욕카운티 법원의 조정(또는 ADR)프로그램
Ⅴ 결어; 우리 법원 민사조정제도 운영에서 참고할 점에 대한 검토를 겸하여
참고문헌
키워드
분쟁해결방법론
법원연계형 조정
부판사
연방지방법원판사
동석조정
별석조정
비밀유지(보안)
자격박탈
법복에서 나오는 권위
멀티도어 코트하우스
1990년 민사사법개혁법
소송대체분쟁해결법
뉴욕동부연방지방법원
뉴욕카운티 주법원
조기중립평가
이해관계의 충돌(상충)
조정 전 전화회의
Dispute Resolution
court-annexed mediation
magistrate judge
district judge
joint session
caucus
confidentiality
disqualification
the authority of the robe
multi-door court house
The Civil Justice Reform Act of 1990
ADR법
Th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ct of 1998
E.D.N.Y.
New York County Court
early neutral evaluation
conflict of interests
premediation conference call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의 pretrial discovery
- 미국 민사소송에서의 약식재판(Summary Judgement)
- 한국법원에 있어서 구술심리 강화와 사건관리방식의 변화
- 韓国法院における口述審理の強化と事件の管理方式の変化
- 단계적 청구의 소와 문서제출제도의 입법적 방향
- 민사소송에서 바라본 진실 개념
- 중국 환경공익소송의 원고적격에 관한 연구
- 소송구조의 현황과 개선방안
- 민사소송에서 부지(不知) 진술의 제한과 평가
- 편면참가의 법적 성질에 대한 고찰
- 전자소송절차
- 의료분쟁의 합리적 해결을 위한 연구
- 한국 가사소송법의 법체계적 지위
- 미국 법원연계형 조정의 운영과 시사점
- 국제민사소송의 국제적인 흐름과 우리의 입법 과제
- 이행의 소에서의 당사자적격
- 선제타격형 국제소송에 대한 연구
- Ⅶ. 한국민사소송법학회 정기학술대회
- 法律上両立し得ない関係にある場合の共同訴訟の規律
- 한국가사소송법에서 본 이혼 시 미성년자녀의 보호
- 電子訴訟手続
- 독일 민사소송법에 있어서의 자유증명 규정의 해석과 적용
- 刊行辭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