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사 확정판결 기판력의 시적범위의 한계
이용수 24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민사소송법학회
- 저자명
- 박상현
- 간행물 정보
- 『민사소송』제23권 제3호, 307~33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Unlike criminal cases, civil trial is judgement about changing judicial relationships. So the RES JUDICATA of confirmed civil judgement has a limit that is difficult to recognize indefinitely. Supreme Court of Korea is also clarifying reasons for exception of RES JUDICATA when a new reason arises after the decision is confirmed. Recently,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made a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to extinctive prescription period of state compensation. In this regard, a review yet to be made as to whether the court can recognize the exception of the RES JUDICATA if the litigant file another lawsuit in the future. Based on the Supreme Court of Korea’s precedents, ① the nature of a subject-matter of lawsuit, ② reasons for litigant’s failure to use the offense and defense methods, ③ the severity of consequences caused by application of RES JUDICATA, ④ Effects caused by application of RES JUDICATA could be set as elements for determining the limit of RES JUDICATA. If the court, without revising the law, examines the limit of RES JUDICATA under current legal framework, it is expected to reduce the social costs incurred in the court’s repeated trial and legislative process and minimize the infringement of the litigant’s state compensation claims.
목차
Ⅰ. 서론
Ⅱ. 기판력의 시적범위의 한계 검토
Ⅲ. 기판력의 시적범위와 위헌결정
Ⅳ. 결론과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llective Redress in Japan: Status quo and future prospects
- 증거수집절차와 증거조사절차의 구별에 관한 시론
- 국제적 소송경합에 관한 입법적 제안
- From Transnational Principles to European Model Rules of Civil Procedure (European Law Institute/UNIDROIT): Rules on Collective Redress
- 외국 공문서의 진정성립
- Collective Redresses in Korea
- 민사 확정판결 기판력의 시적범위의 한계
- The Developments of Collective Redress in Taiwan
- 국내중재판정의 효력에 관하여
- EU의 집단적 피해구제 제도 개선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와 동아시아의 공통 플랫폼 구축
- 성희롱 관련 소송에서 ‘성인지 감수성’과 자유심증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