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적 소송경합에 관한 입법적 제안
이용수 1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민사소송법학회
- 저자명
- 이헌묵
- 간행물 정보
- 『민사소송』제23권 제3호, 385~428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discussed legislative proposal in terms of parallel proceedings in international litigation. The summary of the proposal is as follows: first, the Korean court second seised shall suspend of its own motion or on the application of one of the parties its proceedings. However, the court shall continue its proceedings provided the claim filed to the Korean court has its own interests to be protected. Secondly whether cause of actions and parties in the both proceedings are same shall be decided by way of comparing the scopes of res judicata under both foreign law and Korean law. thirdly the time when a court shall be deemed to be seised is the time when the documents instituting the proceedings are served on the defendants. fourthly, the court shall continue its proceedings when foreign judgments that may not be recognised in Korea are provided to the court or when the foreign courts either suspend or dismiss its own proceedings. Fifthly the court may continue its proceedings when it appears to the court that the proceedings in the foreign court are unlikely to be concluded within a reasonable time. Sixthly the court shall dismiss the proceedings if the proceedings in the foreign court are concluded and have resulted in a judgment capable of recognition in accordance with Korean law or international treaty.
목차
Ⅰ. 서설
Ⅱ. 국제적 소송경합이 발생하기 위한 요건
Ⅲ. 국제적 소송경합의 처리
Ⅳ. 중지된 절차의 속행 및 소의 각하
Ⅴ. 우선주의의 완화의 필요와 방법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llective Redress in Japan: Status quo and future prospects
- 증거수집절차와 증거조사절차의 구별에 관한 시론
- 국제적 소송경합에 관한 입법적 제안
- From Transnational Principles to European Model Rules of Civil Procedure (European Law Institute/UNIDROIT): Rules on Collective Redress
- 외국 공문서의 진정성립
- Collective Redresses in Korea
- 민사 확정판결 기판력의 시적범위의 한계
- The Developments of Collective Redress in Taiwan
- 국내중재판정의 효력에 관하여
- EU의 집단적 피해구제 제도 개선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와 동아시아의 공통 플랫폼 구축
- 성희롱 관련 소송에서 ‘성인지 감수성’과 자유심증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