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esearch on Development Policies of Zhoushan New Area in China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비교정부학회
- 저자명
- Ying Wang Ducksoo Kim Taewon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비교정부학보』제18권 제3호, 35~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ince the 1978, China has begun to develop a large-scale new areas in order to promote national economy. Zhejiang Zhoushan Archipelago New Area, which has obvious advantages in location, resources and industry, etc., is the only city-transformed district in China, a forerunner of Zhejiang Province and an important growth pole of Yangtze River delta in marine economy development. Setting up of this district is an important step of China in adopting the marine power strategy. Marine powers refer to the nations that have strong comprehensive strength in marine development, utilization, protection and management. This paper explores the innovative mode of setting up Zhoushan Archipelago New Area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marine economy, speed up the openness of Zhoushan Archipelago New Area, construct the international logistics hubs, establish marine-related industry system, establish free trade zone, and construct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base, and build a comprehensive marine development and experiment zone. This papre provides the policy implications to the Korean government. Korean government should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China’s strategy for marine economic zone.
목차
I. Introduction
II. The Zhoushan Archipelago New Area
III. Significance of development and basic principles of Zhoushan New Area
IV. Development orientations and development goals of Zhoushan New Area
V. Layout and progress of Zhoushan New Area
VI. Foreground of development policies for Zhoushan New Area
VII.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제간 융합연구의 정책적 지원 방향
- Research on Development Policies of Zhoushan New Area in China
- 은퇴 교사의 성공적 노후를 위한 모형 개발
-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기혼맞벌이여성의 출산의도에 관한 연구
- 사회서비스의 주관적 성과에 관한 이용자와 제공자의 인식 비교 연구
- 새마을운동의 베트남 적용 한계 및 보완점
- 공공갈등 예방과 갈등관리의 제도화 방안
- 빅데이터의 정책적 활용과 과제
- The Effect of Mother s Health Promoting Behavior for Infants and Toddlers on Parenting Burnout
- 경기도와 충남 47개 지방정부 역내 재원수준 비교분석
- 총체적 국가경쟁력의 논리와 전략
-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독일과 한국 사회적기업의 등장 배경과 의미 비교
- 원자력안전규제기관에 관한 비교 검토
- 메가이벤트 개최에 따른 이해관계자간의 관광 거버넌스 형성요인 인식에 관한 비교연구
-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건전성 강화를 위한 재정준칙의 도입 방안 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