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항모정치

이용수  147

영문명
Carrier Politics: South Korea’s Aircraft Carrier: a Tradeoff between Military Effectiveness and Political Opportunity
발행기관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저자명
반길주(Kiljoo Ban)
간행물 정보
『신아세아』新亞細亞 第28卷 第1號, 50~85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력건설은 군사전략과 작전적 효용성을 치밀하게 분석하는 군사적 전문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어야 한다. 정치적 변수가 이 과정에 개입되면 그 전력은 모든 사업을 마치고 작전배치 된 후에도 그 진가를 발휘하지 못하게 될 개연성이 높다. 해군이 역대급으로 평가받는 경항공모함 획득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정치적 기회를 위해 군사적 효용성을 약화시키는 교환의 역학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항모정치’라고 개념화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관료정치모델”을 확대적용하여 한국해군의 항모획득 과정을 “군사적 효용성-정치적 기회 교환” 모델로 개념화한다. 해군의 항공모함 추진방식은 국가이익보다는 조직의 이익을 앞세우는 “관료정치모델적” 전력기획의 속성을 내재하고 있다. 특히 항공모함 획득추진상 절호의 기회라는 조직이익적 동인이 강하게 작동하여 작전적 효용성이 약화되어도 일단 전력건설을 추진하는 “정치-효용성 교환”의 역학이 창출되는 양상이다. 교환이 라는 정치적 역학이 작용하면서 항공모함의 대북위협 상쇄임무는 부각되지 못했다. 이로 인해 항공모함의 기본임무가 모호해지고 작전요구성능(ROC)도 정교하지 못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지만 전력사업만은 “교환역학”에 의해 추진력이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정치-군사’ 교환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합동함 개념적용, ROC 정교화, 차기 항공모함 전력기획과 연계, 해군 및 공군 함재기 혼용 등 다양한 후속조치가 절실하다.

영문 초록

Force planning is a process of acquiring weapon systems and should be shaped by military professionals according to their determination of operational utility. When political variables interven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ce planning could suffer and weapons systems are likely to be suboptimal. The South Korean navy’s plan to acquire an aircraft carrier sacrifices military utility for political gains. This paper conceptualizes the dynamics of a tradeoff between military utility and political opportunity. The decision to acquire an aircraft carrier is a typical case of force planning led by bureaucratic politics where organizational interests are prioritized over national interests. Motivated by a political window of opportunity, the navy is willing to weaken its military effectiveness to acquire an aircraft carrier. As a result, the navy’s mission has been rendered ambiguous and the navy is likely to be unable to deter North Korean threats. The military, in particular the navy, should adopt a variety of measures such as development of an operational concept for a joint ship, polishing its ROC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considering a mid-class carrier for a second ship, and developing an operational hybrid fighter jet for the navy and air force. These measures will help prevent a new aircraft carrier from becoming a white elephant.

목차

Ⅰ. 서론
Ⅱ. 관료정치모델 및 분석의 틀
Ⅲ. 한국의 항모추진과정의 “정치적 기회-군사적 효용성” 교환
Ⅳ. 정치-군사’ 교환 상쇄역학과 논의과제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반길주(Kiljoo Ban). (2021).항모정치. 신아세아, 28 (1), 50-85

MLA

반길주(Kiljoo Ban). "항모정치." 신아세아, 28.1(2021): 50-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