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와 초등예비교사의 초등실과 AI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이용수 1,334
- 영문명
- Converge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원(Seung-W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4권 제1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실과에서 AI 융합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와 초등예비교사의 중요도 인식,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향후 인공지능 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실과교육과정 개발방향을 제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초등교사는 D광역시 소속 초등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예비교사는 K교육대학교와 J교육대학교 재학중인 대학생 164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0년 12월 1주부터 12월 2주까지 2주간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최근 5년 이내 실과교과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가 69.1%로 약 70% 정도 분포하였는데도 조사대상자인 초등교사 중 90명(81.8%)이 AI 융합교육의 지도 경험이 없었으며, AI 융합교육 연수를 받은 경험도 32명(29.1%)에 불과했다. 둘째, AI 융합교육을 이해하고 있는 정도는 초등교사가 M=2.55(SD=1.06), 예비교사가 M=2.54(SD=0.70)으로 평균점수 3점보다 낮았으며 두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와 예비교사 두 집단 모두 모든 AI 융합교육 학습요소에 대하여 최소 평균 3.59 이상의 점수를 보여 모두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초등교사와 예비교사 두 집단 모두 AI 융합교육 학습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보다 자신의 지도능력은 낮게 판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AI 융합교육 학습요소 중에서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교육요구가 가장 높은 것은 티처블 머신이나 머신러닝 포 키즈 등의 플랫폼을 활용한 인공지능 체험과 파이썬(Python)등 텍스트형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인공지능 체험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와 연구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일부 지역의 초등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전국의 초등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과교육과정과 AI 간 융합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AI 소양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절실하다. 셋째, 현재 SW교육이 실과교육과정에 17시간 이상 도입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실과교육과정에 AI 융합교육이 들어오기 위해서는 실과 과목 시수가 확대 편성되어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2022 개정 교육과정과 더불어 AI 융합교육 관련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ggestions on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reas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rveyed 1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 metropolitan city, and preservice teachers surveyed 164 college students attending K and J University of Education from week 1 to 2in December 2020.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although 69.1% of the teachers, which is about 70%,with practical teaching experience within the last 5 years were distributed, 90 people(81.8%) of the survey subjects had no experience in teaching AI convergence education. Only 32 people (29.1%) received training in AI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AI convergence education was M=2.55 (SD=1.06)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M=2.54 (SD=0.70) for preservice teachers,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score of 3 poi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both groups of the elementary and pre-service teachers showed at least an average of 3.59 or higher for all learning element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dicating that all are recognized as important. Fourth, it can be seen that bo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judge their teaching ability lower than their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learning elements. Fifth, among the learning element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elementary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have the highest demand for educat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iences using platforms such as teachable machines and machine learning for kids, and using textual programming languages such as Pyth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aking 경험에서 나타나는 의미에 대한 들뢰즈의 ‘배움’ 철학 기반 탐색
- 초등교사와 초등예비교사의 초등실과 AI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 실과 교과 역량 중심 백워드 설계 모형에 따른 식생활 영역 단원 설계와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 유기견과 함께하는 동물매개교육(AAE)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초등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코딩교육 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실과(기술・가정)에서 법과 규제 교육 필요성에 관한 논의
- 머신러닝 알고리즘 기반 초등예비교사의 실과 비대면 온라인 수업 만족도 예측 요인 탐색
- 초・중등학교 학생4-H 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및 개발 방향
- 마이크로비트 피지컬 컴퓨팅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