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s of Multimodal Composition in English Classes
이용수 11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Eun-Ju Kim Jee Hyun Ma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27권 1호, 121~14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what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in their English multimodal composition classes. For this purpose, 19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ree types of data were colle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students’ self-reflections, teacher’s journal, and semi- structured interview. The participants engaged in four multimodal composition sessions over the period of 12 weeks and produced four multimodal texts with their group member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learners experienced benefits of multimodal composition mainly in five categories: interest, engagement level, motivation, cooperation, and technological skills.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learners’ interest were performances in texts, English learning, technological nature of composition, and their endeavors. The learners experienced the enhanced level of engagement. They engaged in the activities actively using their own language skills and also with other group members’ help and role taking. Key factors related to motivation were instrumental goals, L2 learning experience, recognition, and self-development. In addition, the learners could build team-spirits and improve friendship through the activities. They acquired various editing skills and how to use a program used in the study. Based on the positive behavioral changes in the learners, it is recommended that teachers implement multimodal compositional activities in their classrooms.
목차
I. Introduction
II. Theoretical Backgrounds
III. Methodology
IV. Results and Discussion
V.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s of Multimodal Composition in English Classes
-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초등학교 5·6학년 영어교과서 읽기 지문 분석
- 초등영어 학습자를 위한 협상 챗봇 개발
- 초등 영어교사 자질에 대한학부모와 교사 인식의 차이
- Primary Teachers’ Perception towardClassroom English in Teacher-guidebooks
- A Corpus Analysis on Korean Pre-serviceEFL Teachers’ Morphology in Use
-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쓰기 활동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