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산 고용률 부진의 원인분석
이용수 119
- 영문명
- Analysis on the Causes of Lackluster Performance of Busan Employment Rate
- 발행기관
- 한국사회경제학회
- 저자명
- 박성익(Sungik Park) 류장수(Jangsoo Ryu) 조장식(Jangsik Cho) 김종한(Jongha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경제학회 학술대회 자료집』2021년 겨울 학술대회 발표집,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노동수요로는 인구구조와 지역 간 통근, 노동공급으로는 산업구조를 주목하여 각 요인들이 부산의 고용률 부진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의 고용률 부진은 단기간의 문제가 아닌 장기간의 고질적인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동공급의 측면에서 고용률 격차 분해 결과에 의하면, 인구구성비 차이 효과에 의하여 설명되는 부분은 크지 않고, 대부분이 고용률 차이 효과에 의하여 설명되는 것으로 드러나서 인구구성비 차이는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산에서는 통근으로 인한 순유출이 많아서 인근 지역으로의 통근이 부산의 주거지 기준 고용률 부진의 원인이 될 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업구조지수 분석 결과에 의하면, 부산의 경우 산업구조지수 값이 전국 평균값보다는 낮지만, 전국 광역시도 중 중상위권인 것으로 나타나서 고용률 부진과는 직접적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패널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지역별 고용률 결정은 공급 측면에서는 남성비중이, 수요측면에서는 산업구조지수, 그리고 통제변수인 광역시 더미가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부산의 고용률 부진은 광역시로서 남성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고, 산업구조가 고용을 창출하거나 유지하는데 미흡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population structure, inter-regional commutation and industrial structure on the lackluster performance of Busan employment rate. Major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low employment rate of Busan turned out to be a long-lasting and structural problem.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labor supply, decomposition of employment rate showed that the role of difference in population structure was insignificant to explain low employment rate of Busan. And it was also shown that inter-regional commutation played no role to explain low employment rate of Busan since Busan recorded net-outflow of commuters. Third, from the viewpoint of labor demand, industrial structure index of Busan was revealed to be slightly lower than national average but ranked the fifth out of 17 provinces. Lastly, panel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regional employment rates in Korea were positively affected by higher male proportion and higher industrial structure index.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ackluster performance of Busan employment rate was due to low male proportion and inadequate industrial structure to create or maintain job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차별성
Ⅲ. 부산의 고용률 현황 분석
Ⅳ. 공급요인 분석 : 인구구조 및 통근 효과 분석
Ⅴ. 수요요인 분석 : 산업구조지수 분석
Ⅵ. 패널회귀 분석 : 공급 및 수요요인 비교 분석
Ⅶ.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