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분석
이용수 294
- 영문명
- Analyzing the Practicality of Education Research: Focused 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신현석(Shin, Hyun-Seok) 윤지희(Yoon, Ji Hee)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7輯,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그동안 교육학 연구에서 현장성 확보에 대한 공감은 있어왔지만, 관련된 논의들이 문헌고찰을 통한 추론적 연구 내지는 규범적 논거를 제시하는 수준으로 다루어져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교육학 연구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현장성을 확보해왔지만, 연구 분야별로 현장성을 충족하는 수준은 달랐다. 연구단계별 현장성 정도를 살펴보면, 투입 단계의 ‘연구주제와 문제의식의 현장성’은 강했지만, 과정 단계의 ‘연구방법 및 절차의 현장성’과 산출 및 환류 단계의 ‘연구결과의 현장 적용 가능성’은 약했다. 교육학 연구 분야에 따른 연구단계별 현장성 정도는 각기 달랐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제고를 위한 노력방향을 ① 교육 현장의 문제에 대한 지속적 논의, ② 교육학 연구 분야별로 현장 개선을 위한 실행 방안 구상, ③ 현장 자료 및 경험적 접근방법 등을 동원한 문제 접근 및 실천연구 수행 ④ 교육학 연구자들의 연구단계별 현장성 확보를 위한 관심 환기 등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practicality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practicality of education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Education studies have secured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practicality, but the level of satisfying the practicality of each research field was different. In terms of research stage, the ‘practicality of research subject and problem consciousness’ at the input stage was strong, but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practicality at the process stage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research results to the field at the output and feedback stage were weak. Each research field’s degree of practicality was different.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efforts to improve education research as the followings: ① to discuss practicality issues in the education field continually ② to conceive of implementation plans for field improvement by field of education research, ③ to approach problems using field data and empirical approach, to conduct action research, ④ to call attention of education researchers to secure practicality at each stage of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분석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디지털 포용성(Digital Inclusion)의 국제 연구 동향 분석
-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분석
- 중학교 교사의 코티칭 수업 운영방식과 전문성 개발 여부에 따른 수업 인식과 태도
- 전문대학생의 성장신념, 그릿, 메타인지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 비교과 교사 직무분석
- 코로나 시대에 수행된 원격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도 연구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위한 시나리오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중학교 교사의 개인과 조직의 가치일치, 목표일치와 업무열의 간 관계에서 상사의 정보공유행동의 조절효과 분석
-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생애학습역량 유형 분류 및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 검증
- 사립대 재정지원에 관한 시민들의 태도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과학과 세부 학습영역 분석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Academic Tribune Vol.2 No.2 Contents
- The Granular Representation of Syntactic Cartography
- The Image of China in Irish Literature Since the 20th Centu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