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 시대에 수행된 원격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도 연구
이용수 988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gree of Continuous Participation in Remote Classes Conducted in the Corona Era: Based on ECM, TAM, TFM, and TRA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정한호(Hanho Jeong)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7輯, 33~5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대일치모형, 기술수용모형, 과제기술적합모형, 합리적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원격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지속적인 참여도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대일치모형, 기술수용모형, 과제기술적합모형, 합리적 행동이론 등 관련 선행연구들에 기초하여 기대일치,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과제기술적합성, 주관적 규범, 만족도, 태도를 영향변인으로 도출하고 원격수업에 대한 사용의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2020학년도 1학기 전 교과를 원격수업으로 시행한 수도권 소재 C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3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1)주관적 규범이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 2)태도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 3)기대일치, 지각된 유용성, 만족도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인 논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sk-technology Fit Model, and Theory of Reasoned Action, learners continuous participation in remote class was explor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we derived expectation-confirmati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task-technology fit, subjective norm, satisfaction, attitude as influence variables. And we explored direct or indirect effects of these influence variables on student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remote class. In addi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38 students attending C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ho conducted 100% distance learning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0, due to COVID-19. In this study,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verifi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rough this study, we could grasp that 1)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subjective norms on continuous intention to participate, 2) indirect influence of attitude on continuous intention to use, 3) indirect influence of expectation-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on continuou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remote class. In this study, a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 of the research results was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설정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디지털 포용성(Digital Inclusion)의 국제 연구 동향 분석
-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분석
- 중학교 교사의 코티칭 수업 운영방식과 전문성 개발 여부에 따른 수업 인식과 태도
- 전문대학생의 성장신념, 그릿, 메타인지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 비교과 교사 직무분석
- 코로나 시대에 수행된 원격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도 연구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위한 시나리오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중학교 교사의 개인과 조직의 가치일치, 목표일치와 업무열의 간 관계에서 상사의 정보공유행동의 조절효과 분석
-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생애학습역량 유형 분류 및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 검증
- 사립대 재정지원에 관한 시민들의 태도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과학과 세부 학습영역 분석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