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교과 교사 직무분석
이용수 1,154
- 영문명
- A Study on the Job Analysis of Non Curriculum based Teachers: Nutrition Teacher, Health Teacher, Teacher Librarian, and Counseling Teacher in Seou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신현석(Shin, Hyun-Seok) 조대연(Cho, Dae-Yeon) 김종윤(Kim, Jhong Yun)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7輯, 307~33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교과 교사의 직무분석을 통해 다양한 학교상황에서의 비교과 교사에 대한 직무 이해도를 높이는 데 목적이 두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비교과 교사 관련 업무 방향을 설정할 때 근거가 될 수 있는 자료들을 제공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맞추어 발전할 수 있는 비교과 교사에 대한 인력구조와 업무체계를 효율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위에서 제시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당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비교과 교사 직무에 대한 직무분석표를 만들었고, 이를 바탕으로 2018년 4월,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비교과 교사 별 직무과업의 빈도/중요도/난이도 수준을 확인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개 직위의 평균 과업수는 73.5개였으며, 사서교사가 104개 과업으로 가장 많은 과업수를 보였으며, 영양교사, 보건교사, 전문상담교사는 60여개의 과업수를 나타냈다. 둘째, 비교과 교사의 교육 관련 대분류 과업수는 전체 과업수의 20%를 차지하며, 전체 직무에서 가장 큰 과업수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비교과 교사는 평균 3점 이상의 빈도(3.76)로 과업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과업의 중요도(3.92)가 난이도(3.47)보다 높게 도출되었다. 비교과 교사 중 가장 높은 빈도와 중요도 수준을 보인 직위는 영양교사였으며, 다음으로는 보건교사, 사서교사, 전문상담교사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난이도는 모든 비교과 교사가 4점 아래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 관련 대분류의 평균 빈도는 사서교사, 영양교사, 보건교사, 전문상담교사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육 관련 대분류의 평균 중요도는 사서교사, 영양교사, 보건교사, 전문상담교사 순으로 설문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여섯째, 비교과 교사의 평균 빈도와 교육 관련 대분류의 평균 빈도를 비교하였을 때, 사서교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전체 과업에 대한 빈도가 교육 관련 대분류의 빈도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written with the objectives of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non-curriculum based teacher s job in various situations through the job analysis of Nutrition Teacher, Health Teacher, Teacher Librarian, and counseling teacher. Through this study, it aimed to provide evidences for workforce restructuring, and school system developments. In order to deliver purposes of this study, the job task table of each non-curriculum based teacher was developed thru the prior research analysi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e survey was executed in 2018 and 330 non-curriculum based teachers were participa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verage number of tasks for the four positions was 73.5, and the teacher Librarian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tasks. Second, the number of tasks related to education accounted for 20% of the total number of tasks. Third, the non-curriculum based teacher was performing a frequency of 3.76, and the importance of the task of 3.92, and the difficulty of 3.47. Forth, the average frequency of education-related categories was found in the order of teacher librarian, nutrition teacher, health teacher, and counseling teacher. Fifth, the average frequency of all tasks was higher than that of education-related major categories, except for librarian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디지털 포용성(Digital Inclusion)의 국제 연구 동향 분석
-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분석
- 중학교 교사의 코티칭 수업 운영방식과 전문성 개발 여부에 따른 수업 인식과 태도
- 전문대학생의 성장신념, 그릿, 메타인지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 비교과 교사 직무분석
- 코로나 시대에 수행된 원격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도 연구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위한 시나리오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중학교 교사의 개인과 조직의 가치일치, 목표일치와 업무열의 간 관계에서 상사의 정보공유행동의 조절효과 분석
-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생애학습역량 유형 분류 및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 검증
- 사립대 재정지원에 관한 시민들의 태도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과학과 세부 학습영역 분석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