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Trends of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Material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발행기관
- 한국세라믹학회
- 저자명
- 이주영(Ju Young Lee)
- 간행물 정보
- 『세라미스트』제22권 제3호, 218~229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development of highly efficient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ADF) materials is an active area of recent research i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since the first report by Chihaya Adachi in 2011. Traditional fluorescent materials can harvest only singlet excitons, leading to the theoretically highest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of 5% with considering about 20% light out-coupling efficiency in the device. On the other hand, TADF materials can harvest both singlet and triplet excitons through reverse intersystem crossing (RISC) from triplet to singlet excited states. It could provide 100% internal quantum efficiencies (IQE), resulting in comparable high EQE to traditional rare-metal complexes (phosphorescent materials). Thanks to a lot of efforts in this field, many highly efficient TADF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This review focused on recent molecular design concept and optoelectronic properties of TADF materials for high efficiency and long lifetime OLED application.
목차
1. 배경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골프 참여자의 과시적 여가소비와 스트레스 해소,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웰빙의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인문학적 소양 및 감성지능이 도덕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요인
- 간호학과 신입생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긍정정서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
- Improving Acceptability of Goji Berry Functional Beverages through Multi-Ingredient Formulation: A Statistical Sensory Approach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