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Jeju Economic History through the Jeju Folk Songs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진관훈(Jin, Gwan-Hun)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55권, 103~13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제주민요에는 노동요(勞動謠)가 많다. 제주지역 노동요에는 ‘검질 매는 소리’, ‘밭 밟는 소리’, ‘도리깨질 소리’, ‘방아 찧는 소리’, ‘멸치 후리는 소리’, ‘해녀 뱃소리’, ‘고랫소리’, ‘가래질소리’, ‘꼴 베는 소리’, ‘톱질소리’, ‘방앗돌 굴리는 소리’, 말총으로 양태, 망건, 탕건 등을 결으며 부르던 관망요(冠網謠)등이 있다.
노동요에는 당시 시대상황을 반영한 생산 활동에 관한 구체적 사실들이 잘 나타나 있다. 특히 어부가(선유가)에는 당시 마을마다 지역특성에 맡게 행해졌던 가내수공업이나 부업활동에 관한 내용이 상세히 나타나 있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제주민요에 나타난 당시 생산 활동, 경제생활, 경제적 행위 등과 제주경제사 사실(史實)과의 연관성을 모색하는 ‘제주민요와 제주경제사의 학제간 연구’는 학문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제주지역 노동요를 9개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표적인 노동요를 골라 총 20개의 제주지역 노동요가 가지는 제주경제사적 함의를 탐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농업노동요(4), 어업노동요(4), 목축노동요(2), 임업노동요(2), 수공업노동요(1), 가내공업노동요(3), 토목노동요(2), 운반노동요(1), 제분노동요(1) 등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economic history of Jeju through the Jeju folk songs. Commonly, each folk song reflects the real living state of economy. There are many kinds of work songs in Jeju Folks songs such as agriculture, fishing, stock-farming, forestry, manufacturing, home industry, public works, carry, and flour milling. Especially, folk songs of fishermen describe the real image of manufacturing and a side job of woman in Jeju at that time.
Folk songs of labor reflect the spirits of production activity of those days. Therefore, Jeju folk songs portray labor for production, economic phenomenon, and the state of economic living at that time in Jeju. Historical facts of Jeju economic history were found in the Jeju folks songs for various industries and labor of people in Jeju at that ti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s how the implication of Jeju folk songs can be applied to the economic history of Jeju. Moreover it could be utilized for the interdisciplinary study.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connect Jeju economic history and Jeju folk songs in terms of enhancing science in Jeju and expanding scope of Jeju economic history.
In this paper, implication of Jeju economic history about 20 Jeju folk songs in various industries and labor is analyzed – agriculture(4), fishing(4), stock-farming(2), forestry(2), manufacturing(3). home industry(1), public works(2), carry(1), flour milling(1).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제주노동요로 보는 제주경제사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 화교사회의 형성과 생활양상에 관한 연구
- 붉바리 서식행동특성을 이용한 사육수조에 쉼터(Shelter) 설치가 어류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해양문화자원에 대한 도민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 제주의 근대 인물유산으로서 석주명
- 제주도 용암숲 곶자왈에 자라는 몇 종 식물의 분류학적 주해
- 제주도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인식과 혼잡지각, 만족 및 관광개발지지에 관한 연구
- 시적 공간 ‘성산포’의 장소성 고찰
- 제주민요로 보는 제주경제사 연구 시론
- 조선오만분일지형도(朝鮮五萬分一地形圖)의 제주도 사찰
- 마을 만들기 전략으로서 제주 농촌의 학교 살리기 사례 분석과 지속가능 지역교육공동체 탐색
- 마을자치와 제주 향약에 관한 연구
- 고려 김수(金須)의 생애와 제주도
- 제주도산 목련강의 목련아강, 조록나무아강, 석죽아강, 딜레니아아강의 목록
- [삭제] 붉바리 서식행동특성을 이용한 사육수조에 쉼터(Shelter) 설치가 어류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10~12세기 고려의 渤海難民 수용과 주변국 同化政策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선량한 국제 시민성’과 보건외교: 대중동 지역(Greater Middle East)에 대한 튀르키예의 보건외교 정책 분석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자기결정성이론과 지속가능지능으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 제주 동백동산 습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