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리콘이 충전된 눈에서 부분결합간섭계를 이용한 인공수정체 도수계산
이용수 0
- 영문명
-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 Using Partial Coherence Interferometry in Silicone Oil-Filled Eyes
- 발행기관
- 대한검안학회
- 저자명
- 강승범(Seungbum Kang) 노영정(Young Jung Roh)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Vol.11 No.1, 36~41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실리콘이 충전된 눈에서 부분결합간섭계를 이용한 인공수정체 도수결정의 정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실험군은 실리콘이 충전된 눈에서 부분결합간섭계를 이용하여 인공수정체 도수를 정하고 실리콘기름 제거술과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동시에 시행한 1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실리콘 기름을 제거한 후 초음파를 이용한 A-scan (Tomey, Nagoya, Japan)으로 인공수정체의 도수를 계산하고 단계적으로 인공 수정체를 삽입한 12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3개월째 실제 굴절값을 측정하였고, 목표 굴절값과 차이인 굴절예측이상값을 구하여 두 군의 굴절예측이상값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결과: 실험군의 술 후 3개월째 실제 굴절값의 평균은 -1.30±1.57디옵터였고 굴절예측이상값의 평균은 -0.08±1.04디옵터였다. 대조군의 술 후 3개월째 실제 굴절값이 평균은 -1.63±1.75디옵터였고, 굴절예측이상값의 평균은 -0.48±1.27디옵터였다. 두 군의 굴절예측이상값 사이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674).
결론: 부분결합간섭계는 실리콘이 충전된 눈에서 인공수정체 도수를 결정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accuracy of intraocular lens (IOL) power calculation in eyes that have been operated on by silicone oil removal combined with IOL implantation using partial coherence interferometry.
Methods: 10 eyes of 10 patients with silicone oil tamponad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IOL power calculation for 10 eyes was performed using partial coherence interferometry. 12 eyes of 12 patients with silicone oil tamponade were also included in this study as control group. 12 eyes in control group had IOL implantation after silicone oil removal. The IOL power calculation for control group was performed using conventional ultrasound A-scan (Tomey, Nagoya, Japan). Three months after silicone oil removal combined with IOL implantation, actual refraction was measur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and target refraction, refractive prediction error was calculated. It is defined as substraction of target refraction from actual refraction.
Results: At three months, actual refraction and refractive prediction error of the group using partial coherence interferometry were -1.30±1.57 diopter and -0.08±1.04 diopter, respectively. At three months, actual refraction and refractive prediction error of the control group using ultrasound A-scan were -1.63±1.75 diopter and -0.48±1.27 diopter,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values (p=0.674).
Conclusions: Partial coherence interferometry seems to be satisfactory accurate method to calculate IOL power in silicone oil-filled eye.
목차
서 론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망막정맥폐쇄에 의한 황반부종 환자에서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 주입술과 트리암시놀론 주입술의 치료 효과 비교
- 안과용 젤이 방사선치료용 눈차폐기에 의한 안구 자극 및 방사선투과도에 미치는 효과
- 화소값의 통계적 분석을 이용한 신속 망막혈관검출기법 연구
-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of Vertical Rectus Muscle Recession
- 실리콘이 충전된 눈에서 부분결합간섭계를 이용한 인공수정체 도수계산
- 공막연화증에서 시행한 양막이식술에서 재이식의 위험인자에 대한 장기 관찰 분석
- 한국인에서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시신경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연령에 따른 변화
- 한국인 망막색소변성 환자의 시야장애의 평가
- 안구건조증에서 정량적 눈물액 삼투압 측정을 통한 레스타시스Ⓡ의 치료 효과
- 백내장 수술 시 3가지 각막 곡률 검사기의 비교
- 외사시를 보이는 듀안안구후퇴증후군 I형 1예
- 사용자의 시선 방향 획득을 이용한 인공 망막 모의 실험 시스템 개발
- 유리체 내 트리암시놀론 주사 후 발생한 트리암시놀론 전방 유출로 인한 안압 상승
- 한국인의 장기기증 인식 실태와 매스컴의 영향
- 원시에서 연령에 따른 소아안과적 임상소견의 비교
- 양안 당뇨황반부종에서 각각 시행한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과 베바시주맙 주입의 단기효과 비교
- 소아에서 휴대형 자동굴절검사기와 탁상형 자동굴절검사기, 망막검영법의 정확성 비교
- 백내장 수술 시 CORNEALⓇ Lens를 삽입한 고도근시안에서의 술 후 굴절력 예측
- 낮은 각막내피세포 밀도를 보인 환자에서 시행한 공막고정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잘자요, 엄마』의 장르 특성에 따른 크로노토프 형성 과정 연구
- A.R. Gurney의 <러브레터> 연구 -자크 라깡의 정신분석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