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추각막 환자에서 비구면 RGP 렌즈착용이 각막지형도 및 내피세포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
- 영문명
- Effect of the Aspheric RGP Lens on Corneal Topography and Endothelial Cell in Keratoconus
- 발행기관
- 대한검안학회
- 저자명
- 신동빈(Dong-Bin Shin) 한남수(Nam-Su Han) 김미금(Mee-Kum Kim) 이재림(Jae-Lim Lee) 김창식(Chang-Sik Kim)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Vol.3 No.3, 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원추각막 환자에서 비구면RGP(R gi d Gas Perneable)렌즈의 착용이 각막 지형도와 각막내피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원추각막환자중 6개월이상 추적관찰된 35명(65안)에서 비구면RGP렌즈를 착용한 16명(30안)과 렌즈를 착용하지 않은 19명(35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비구면렌즈착용후 최대교정시력, 현성굴절력, 전안부소견을 6개월간 관찰하였고, 첫 내원시와 렌즈착용 6개월후의 각막지형도 및 각막내피세포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렌즈착용후 28안(93.3%)에서 20/25이상의 최대교정시력을 보였다. 난시의 변화량, Sim-k, surface asynmetry index, Surface regul arity index, 원추정점 굴절력의 변화량은 비구면 RGP 렌즈를 착용한 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각막내피세포밀도와 평균내피세포크기의 변화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원추각막환자에서 비구면 RGP렌즈의 단기간 착용은 내피세포에는 영향이 없으나 각막의 불규칙성 및 비대칭성을 증가시키고 각막곡률반경을 가파르게 변화시켜 원추각막의 주변부각막과 비구면렌즈의 관계가 부적절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spheric rigid gas permeable (RGP) lens on the corneal topography and endothelial cells in eyes with keratoconus.
Methods: Sixty five eyes of 35 keratoconic patients who had follow-up of more than 6 month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irty eyes of 16 patients wore aspheric RGP lens, and the remaining control eyes did not wear any lens. Afer aspheric RGP lens fitting, visual acuity and manifest refractive error were evaluated, Slit lamp examination and crneal topography were also done. Mean cell area and density of corneal endothelial cell were measured by specular microscopy at first visit and 6 months after lens fitting.
Results: After lens fitting, the percentage of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of better than 20/25 was 93.3% (28 eyes). The change of astigmatism, the Steepest Simulated keratometry reading, Surface asymmetry index, Surface regularity index, and apical corneal pow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keratoconic cornea in aspheric lens fitting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neal endothelial cell counts and mean cell areas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s: Short-term wearing of aspheric RGP lens in keratoconic patients showed no effect on corneal endothelial cells. However, it increased the irregularity and steepening of the keratoconic cornea. It may indicate that mid-peripheral corneal-to-lens relationship may be inappropriate when keratoconus is fitted with aspheric len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잘자요, 엄마』의 장르 특성에 따른 크로노토프 형성 과정 연구
- A.R. Gurney의 <러브레터> 연구 -자크 라깡의 정신분석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