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동체의식과 주거환경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이용수 79
- 영문명
-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 the Consciousness of Belonging to Commun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Have on Residential Mobility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임현정(Im, Hyun-jung) 임준홍(Im, Jun-Hong)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8권 제4호 (통권 제50호), 13~2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시민의 주거이동 요인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것은 주택과 주거환경 그리고 공동체 요인일 것이라는 가설과 두 요인 중 어느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할 것인가라는 의문에서 본 연구는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탐색적·기술적 통계분석결과 마을에 대한 인지와 애착심 그리고 신뢰, 공동체 의식과 공동체 활동 등이 높을수록 주거이동의향이 낮고, 현 주거지에서 계속 거주하려는 성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택과 주거환경 만족도 높을수록 주거이동 의향이 낮고 계속적으로 거주하는 의향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2가지 요인 중 어느 요인이 주거이동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가를 회귀분석 한 결과, 주거환경 요인보다 공동체 요인이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공동체 의식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최근 정부가 마을만들기나 도시재생사업 추진에서 공동체를 강조하는 것도 같은 이유일 것이다. 이에, 정부가 추진하는 마을만들기와 도시재생사업은 공동체 의식을 높일 수 있는 방향에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공동체에 대한 주민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마을만들기 콘텐츠 역시 복지, 문화예술, 교육 등 관심이 높은 분야에서 시작하고, 그 이후 일자리 창출 등과 연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even the causes of citizen’s residential mobility vary, the most key factors would b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consciousness of belonging to community. Furthermore, research was done from a question that which of two factors would be more influential to residential mo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descriptive analysis, the higher awareness of the village, attachment and trust, consciousness of belonging to community, and community activity, the lower the tendency to move and the higher the intention to continue staying at current residence. Also, as being satisfied with the hous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people are reluctant to leave and willing to stay at current residence. Especially, according to regression results, it seems that community factors have more impact than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This result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community belongings. This is why the government recently emphasis the community when they promote community building and urban regeneration business. Therefore, the government’s community building and urban regeneration must be done in a way that increases the community belongings. Also, to arouse resi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community building has to start in areas of high interest, such as welfar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after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be linked to job cre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균형발전 지표 가중치 설정에 관한 연구
-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 실증분석
- Q방법론을 활용한부동산중개업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 소규모 상가 분양가 할인율 결정 모형
-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의 전이효과 분석
- 공유주택에 대한 친환경 계획의 개념과 특성 연구
- 지역주택조합사업의 추가분담금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창원지역의 근대농업유산 보존 및 활용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중소형 빌딩 개발사업의 리스크 요인의 중요도에 관한 실증분석
-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에서 소유자 변화의 공간적 분포
- 지방도시내 KTX 역세권으로의 주거이동 특성
- 우량점포를 위한 소매기업의 추월 전략
- 지속 가능한 AI 스마트 하우징 주거 서비스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위한 핵심 고객 가치
- 생활SOC와 도시재생사업이 주택거래와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공동주택 단지 내 텃밭관련 요인이 거주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주민편의시설의 효율성과 생산성 변화분석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Barrier free Design in School Facilities : Focused on Cheonkwang middle and high school in Changwon
- 도시정비사업에서 시공자와 조합간의 분쟁 해소방안 연구
- 신혼부부 주거비용 지원사업의 효과분석과 주거상태 변화에 관한 연구
- 공동체의식과 주거환경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 Changes to shop configuration in streets and merchant s awareness through the removal of enclosed arcades : A case study of 6 shopping streets in Osaka
- 커뮤니티 시설을 활용한 대피소 확보방안
-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은행대출의 행태변화 요인 분석
- GIS 기반 집적원리에 기초한 도시지역 상권의 구역별 특성 분석
- 서울시 주택가격의 양극화 현상과 근린주거환경과의 정합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